벌레나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경칩’이 지나고 본격적인 봄기운이 느껴진다. 이에 겨울 추위로 미뤄뒀던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특히 산행을 시작하는 둥산인구가 눈에 띄게 증가했다. 작년 한 해 등산 인구는 74.1%로, 2021년의 62.3%에 비해 11.8% 늘었다.
이처럼 등산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만큼 산행 중 크고 작은 부상으로 병원을 찾는 이도 늘고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7일 의료계에 따르면 등산은 전신 체력을 기르고 근력을 강화할 수 있는 좋은 운동이지만, 무릎을 많이 쓰기 때문에 부상을 조심해야 한다. 특히 무릎 관절에 부상을 입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무릎 관절은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다. 무릎 관절을 이루는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 관절 연골 사이에 있으며 초승달 모양을 띠고 있다. 또 무릎 관절보다 탄력성이 강해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물로 볼 수 있다.
반월상 연골 파열은 가장 흔한 무릎 부상 중 하나로, 나이와 관계없이 누구나 발생할 수 있다. 이 질환은 여러 형태로 나타나게 되며 어느 부위에서 어떤 모양으로 파열됐는가를 보게 된다.
스포츠와 관련된 반월상 연골 파열은 종종 ‘전방 십자인대 파열’ 등 다른 무릎 손상과 함께 발생하기도 한다. 젊은 층은 주로 스포츠 손상, 50대 이상 중장년층은 퇴행성 파열이 주로 발생한다.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질 때에는 ‘퍽’하고 터지는 소리를 느낄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은 무릎이 다친 채로 걸을 수 있으며, 운동선수들도 파열이 발생한 후 운동을 지속한다. 그러나 2~3일이 지나면 무릎이 더 뻣뻣해지고 부어오르며 무릎관절 운동범위가 제한되는 증상이 지속된다.
반월상 연골판 파열의 흔한 증상으로는 통증, 뻣뻣함과 붓기, 무릎 잠김, 무릎 꺾임, 무릎 관절 운동범위의 감소 등이 있다. 여기서 무릎 잠김이란 운동 중 갑자기 무릎을 구부렸다 펴는 동작이 어려워진 상태를 의미한다.
박기람 세란병원 정형외과 과장은 “갑작스러운 반월상 연골판 파열은 스포츠 활동 중 자주 발생한다”며 “운동 중 무릎이 과도하게 구부려지거나 뒤틀리며 발생할 수 있고, 나이가 많은 사람들은 퇴행성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 말했다.
이어 “치료를 받지 않으면 반월상 연골판이 느슨해져 관절 안에서 움직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릎에서 소리가 나고 미끄러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고령층은 퇴행성 반월상 내측 연골판 파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연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얇아지게 되며, 의자에서 일어날 때 발생하는 무릎의 뒤틀림만으로도 퇴행성 반월상 내측 연골판 파열이 유발될 수 있다. 이를 방치할 시 퇴행성 관절염으로 진행하게 되며 수술을 요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젊은 사람들이 등산이나 격한 운동을 하다가 반월상 연골판이 파열되는 것은 외상성으로 분류된다. 산을 오를 때는 체중의 2~3배, 내려갈 때는 체중의 5~7배 정도의 하중이 무릎에 가해진다. 경사가 가파른 길을 내려갈 때에는 무릎이 더 과하게 구부러지게 된다.
박 과장은 “반월판 연골 손상은 찜질만으로 해결하기 어렵고 진료가 꼭 필요하다”며 “환자의 상태를 청진, 촉진 등으로 진단하는 이학적 검사와 함께 어떤 부위가 파열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MRI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생활 습관도 중요하다. 굽이 높은 신발을 신거나 양반다리 등 잘못된 자세를 바로잡아야 한다. 또 층계를 오르내릴 때에는 무릎에 충격이 가지 않도록 주의하며, 무릎 관련 질환이 있다면 등산은 높고 경사가 심한 곳보다는 평이한 곳으로 가는 것이 좋다.
박 과장은 “반월상 연골 파열은 무릎의 역학기전 장애를 유발하며 퇴행성관절염을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며 “체중 부하 자체만으로는 반월상연골의 운동에 별다른 변화를 미치지 않으며, 병변이 악화하지 않도록 무거운 물건 들기 등 무릎에 부담을 주는 행동을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