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가 지난 1월 제주 서귀포시 성산읍 일대에 제2공항을 짓겠다고 환경부에 제출한 전략환경영향평가서가 그제 ‘조건부 협의’를 조건으로 통과됐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제주지사 시절 평가서 본안을 제출한 2019년 9월 이후 3년 6개월 만이다. 그해 12월과 이듬해 6월에도 보완된 평가서를 냈지만 반려됐던 걸 감안하면 일단 큰 산을 넘은 셈이다. 환경부는 지역 주민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조류 충돌 방지 대책과 조류 서식지 보호 계획 그리고 항공소음 저감 대책과 법정 보호생물 현황조사도 주문했다.
제주공항의 혼잡도와 노후화를 감안하면 제2공항의 필요성은 충분하다. 지난해 제주공항 이용객은 2970만여명, 운항 편수는 16만9624회에 이른다. 이미 2019년 활주로 용량이 102%를 넘어서 안전 사고 위험성이 높아졌다. 올 1월부터 10월까지 1만6179편에 달하는 지연 편수 가운데 기상 여건을 제외한 혼잡도 등 인프라 관련 건수가 93%에 육박하는 실정이다. 제주공항의 약 1.5배 면적(545만7000㎡)에 활주로 길이만 3.2㎞인 2공항이 2035년 1689만명, 2055년 1992만명을 수용하면 기존 공항과 함께 장래 제주 항공수요 예측치인 4000만명을 모두 수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