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대학살의 주범은 제 할아버지"…유족 앞에서 무릎 꿇은 전두환 손자

5·18 유족·피해자들 앞에서 고개 숙인 채 소신 고백
"가족들에게 5·18 물으면 침묵…제대로 알지 못했다
군부 독재 맞서다 고통 당한 광주 시민들에게 사죄"

“5·18 대학살의 주범은 저의 할아버지 전두환 씨라고 생각합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27)씨가 31일 광주에서 5월 단체 피해자와 만남의 시간을 갖고 다시 한번 고개를 숙였다.

전직 대통령 고(故)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31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묘지 내 1묘역 고 김경철 열사 묘비를 닦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전씨는 이날 오전 5·18기념재단 등이 광주 서구 5·18기념문화센터 1층에 마련한 리셉션홀에서 “이 자리를 빌려 전두환 씨가 5·18 학살자라는 것을 인정한다”며 사죄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준 광주를 향해 무릎을 꿇고 가족을 대신해 사죄했다.

 

이 자리에는 5·18 공법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 단체장과 원순석 5·18기념재단 이사장, 5·18 유가족과 피해자 등 100여명이 모였다. 전 씨 옆자리에는 5·18 당시 고등학생 시민군으로 항쟁에 뛰어들었다가 사망한 문재학의 어머니 김길자 여사, 3공수여단의 광주교도소 작전 당시 주변에서 총을 맞은 김태수 씨, 구금돼 고초를 겪다 풀려나 부상 피해를 안고 살아온 김관 씨 등이 함께했다.

 

검정색 코트에 곤색 넥타이를 매고 나온 전 씨는 5·18 유족과 피해자들 앞에서 눈도 제대로 마주치지 못하고 고개를 숙인 채로 그동안의 소신을 고백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전두환 씨는 5·18 앞에 너무나 큰 죄를 지은 죄인”이라며 “민주주의 발전을 도모하지 못하고 오히려 민주주의가 역으로 흐르게 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가족들이 5·18에 대해 물어보면 대화의 주제를 바꾸거나 침묵하는 바람에 제대로 알지 못했다”며 “오히려 5·18은 민주화운동이 아니라 폭동이라고 했다”고 덧붙였다.

전직 대통령 고(故) 전두환 씨의 손자 전우원 씨가 31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5·18 유가족인 김길자 씨를 위로하고 있다. 연합뉴스

또 “양의 탈을 쓴 늑대들 사이에서 평생 자라왔고, 저 자신도 비열한 늑대처럼 살아왔다”며 “이제는 제가 얼마나 큰 죄인인지 알게 됐다. 제가 의로워서가 아니라 죄책감이 너무 커서 오늘 사죄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두려움을 이겨내고 용기로 군부독재에 맞서다 고통을 당한 광주 시민께 가족들을 대신해 다시 한번 사죄드린다”며 “더 일찍 사죄의 말씀을 드리지 못해 진심으로 죄송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제가 이 자리에 있는 것 또한 죄악이라고 생각하지만 이런 자리를 마련해 주고 따뜻한 마음으로 받아주신 광주시민과 피해자 가족분들께 감사하다”며 울먹이기도 했다. 그는 “제가 느끼는 책임감을 보실 수 있도록 앞으로 회개하고 반성하는 마음을 가지고 살겠다”고 밝혔다.

 

5·18 진상규명조사위원회에서 조사 위원으로 요청하면 참석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전씨는 “도움이 된다면 참석하겠다”고 했다. 또 올해 5·18 기념식에도 참석하겠다는 의사를 분명히 했다.

 

5·18 당시 가족을 잃은 오월 어머니회 회원들 앞에선 무릎 꿇고 큰 절을 하기도 했다. 오월 어머니회 한 회원은 울먹이며 “용기를 내줘서 고맙다”며 전씨를 꼭 안거나 손을 붙잡기도 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손자 전우원(27)씨가 31일 광주에서 5월 단체 피해자와 만남의 시간을 가진 뒤 오월 어머니회 회원들 앞에서 가족을 대신해 사죄하고 있다. 김선덕 기자

5·18 당시 고등학생 시민군으로 활약하다 숨진 고 문재학 열사의 어머니는 “그동안 얼마나 두렵고 힘든 고통의 시간을 보냈을까 하는 생각에 가슴이 아프다”며 “광주를 제2의 고향처럼 생각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이제부터 차분하게 얽혀있는 실타래를 풀어가는 심정으로 5·18의 진실을 밝혀 용서와 화해의 길로 나갑시다”고 말했다.

 

전 씨와 만남의 시간을 지켜본 광주 한 시민은 “전두환 씨의 손자가 직접 광주에 내려와 진심으로 사죄하는 모습을 보니 가슴이 뭉클했다”며 “5·18의 진실을 잊지 말고 앞으로 앞장서서 그 진실을 명백히 밝혀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 씨는 이날 5월 단체와의 만남이 끝난 뒤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았다. 전두환 일가 구성원 중 5·18 사죄와 묘역 참배를 한 것은 전 씨가 처음이다. 전 씨는 5·18 최초 사망자인 고(故) 김경철 열사의 묘역을 시작으로 초등학교 4학년 희생자인 고(故) 전재수 군, 시신조차 찾지 못한 행방불명자와 이름 없는 무명열사 묘역까지 차례로 참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