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량이 일조량이 많았던 지난 4월 휴일에 전체 전력 수요의 40%에 육박했을 정도로 발전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력 수요지까지 연결해 줄 송전망 등의 기반시설이 그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에너지 수급 불균형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11일 에너지 업계에 따르면 지난 4월 9일 일요일 낮 12시∼오후 1시 한 시간 평균 태양광 출력량 추계치는 2만1778.7㎿(메가와트)로, 이 시간대 우리나라 전체 전력사용량(5만5577㎿)의 39.2%를 차지했다. 올해 들어 상위 10개 태양광 발전량이 전체 전력 사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부분적으로 모두 30%를 넘겼다. 일조량이 많은 낮 12시∼오후 1시 기준으로 태양광 발전 비중은 지난 4월 30일 37.9%, 4월 2일 37.2%, 4월 8일 35.9%, 3월 19일 35.5%, 3월 26일 35.2%, 5월 14일 34.9% 등으로 나타났다. 모두 주말이거나 휴일이었다.
이달 현충일 징검다리 연휴기간 태양광 출력 추계는 3일 2만518㎿(32.7%), 4일 오전 11시∼ 낮 12시 1만8670㎿(32.0%), 5일 오후 1∼2시 1만4431㎿(20.3%), 6일 낮 12시∼오후 1시 1만8934㎿(28.9%)였다. 평일보다 에너지 수요가 적은 휴일에 일조량이 많은 일부 시간대이지만 태양광 발전 비중이 원자력 발전, 화력발전,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등과 더불어 주요 에너지원으로 부상한 것으로 풀이된다.
동시에 국가 전체 에너지 운영에 딜레마가 생겼다. 전기요금이 꾸준히 오르는 상황에서 신재생에너지 전력 과잉생산 여파로 비용이 훨씬 싼 원자력발전 가동을 줄이는 일까지 벌어졌다. 전력 생산량과 소비량을 정확히 일치시키지 않으면 블랙아웃(대정전)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원자력발전은 사실상 ‘100% 가동’을 원칙으로 했는데 태양광 발전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출력 감소’ 조치를 한 일이 올해 들어 5월까지 23차례다. 출력 감소 규모는 4130㎿ 수준이다. 태양광과 원자력발전 사업자 간 갈등으로 비화될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전력 생산지와 수요지를 빠르게 연결해 줄 ‘고속도로’ 격인 송전망 확충이 필요하지만 한국전력의 적자가 누적되고 있어 해결이 요원한 상황이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2018년 7.5기가와트(GW)였던 태양광 설비 용량은 지난달 들어 26.6GW로 3배 이상이 됐다. 반면 이렇게 생산된 전력을 실어나를 송전선로 확충은 더뎠다. 한국전력에 따르면 2016년 총 송전선로 길이는 3만3696C-㎞(길이에 회선 수를 곱한 값)에서 2021년 3만5190C-㎞로 소폭 늘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