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성수 서초구청장 “문화벨트로 더 살기좋은 서초 만들 것” [2023 서울 구청장에게 묻다]

한예종·예술의전당 등 인프라 우수
반포대로 중심 5개 ‘특화거리’ 조성
서울 유일 스마트도시도 한층 발전
블록체인 기반 ‘서초코인’·‘AI CCTV’
재개발·재건축 갈등 ‘전문가중재단’
“구민 일상회복… 숙원사업도 해결”

“구슬이 서 말이라도 꿰어야 보배라고 하죠. 우리 서초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화예술 자원과 인프라를 잘 엮어 ‘서초문화벨트’를 조성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전성수 서울 서초구청장은 취임 1주년을 앞둔 지난 8일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서초구는 각종 기관과 언론사 평가에서 서울은 물론 전국을 통틀어 ‘살기 좋은 도시’ 1∼2위를 다툰다. 전 구청장은 “더 살기 좋고, 품격 있는 도시를 만드는 건 문화예술”이라며 “우리 구는 한국예술종합학교(서초동캠퍼스)와 국립국악원, 국립중앙도서관 등 시설 인프라가 풍성하고, 구민들의 문화예술과 건강에 대한 욕구도 강한 편이라 인적 인프라도 잘 갖춰져 있다”는 말로 문화예술 정책에 힘을 쏟는 이유를 설명했다.

 

전성수 서울 서초구청장이 지난 8일 집무실에서 가진 세계일보와 인터뷰에서 “더 살기 좋고, 품격 있는 도시를 만드는 건 문화예술”이라며 “우리 구가 갖고 있는 여러 문화예술 자원과 인프라를 잘 엮어 ‘서초문화벨트’를 조성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남정탁 기자

서초문화벨트는 구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축인 반포대로를 중심으로 우면산부터 한강(반포한강공원)까지 각 구간 특성에 맞춘 5개 특화거리로 구성된다. 우면산 자락에 위치한 예술의전당 맞은 편 일대엔 ‘악기거리’가, 그 북쪽으로는 악기거리와 연계한 ‘음악·축제거리’가 만들어진다. 대법원과 대검찰청, 서울중앙지검 등이 있는 서초역 사거리 일대엔 ‘사법정의허브’를 조성한다. 대법원 북쪽에 위치한 국립중앙도서관 일대엔 ‘책문화거리’가, 국내 최대 지하상가가 유명한 고속터미널역 인근엔 ‘관광·쇼핑거리’가 들어선다.

 

전 구청장은 특히 사법정의허브와 관련해 “네덜란드 헤이그는 국제형사재판소(ICC)가 있어서 세계 사법정의의 수도가 됐다”며 “서초에도 대법원·대검찰청뿐만 아니라 대한변호사협회와 변호사사무실 등이 몰려 있는 법조타운이 있으니 적어도 아시아태평양지역 사법 중심지로 만들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고 부연했다. 그는 관광·쇼핑거리에 대해선 “현재 서초에는 관광특구로 지정된 곳이 없다”며 “반포한강공원과 세빛섬 일대를 관광특구로 지정해달라고 (정부와 시에) 신청하기 위한 용역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문화예술 정책 외에도 전 구청장이 주력하고 있는 있는 건 ‘최첨단 스마트도시’를 만드는 일이다. 그는 “서울 자치구 중에 국내외에서 스마트도시로 인증받은 곳은 서초가 유일하다”며 대표적인 정책으로 ‘서초코인’을 꼽았다. 서초구청장이 발행하는 서초코인은 블록체인 기술로 만든 ‘착한 포인트’ 개념이다. 시범사업 단계에선 60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이었지만 지금은 전 구민으로 확대됐다. 전 구청장은 “자원봉사나 재능기부 등 선하고 가치 있는 활동을 할 때나 아이스팩 반납 같은 탄소중립 관련 활동에 서초코인을 활용할 수 있다”며 “지난달 말 조례 개정으로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고 소개했다. 1서초코인은 100원으로 정해졌다.

 

전 구청장은 스마트도시 구축으로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 일도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지난해 10월 발생한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사회적 관심사로 떠오른 인파 밀집 문제와 관련해 “서초에는 ‘AI(인공지능) CC(폐쇄회로)TV’가 있다”며 “1㎡에 6명이면 붐비는 건데, 그걸 체크해서 경보가 울리도록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고 말했다. 전 구청장은 올 하반기부터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해 노후 건물의 위험도를 체크하는 시스템을 만드는 사업에 착수하려 한다고 전했다. 행정안전부 공모에도 선정됐다고 한다. 이 밖에도 구는 지하상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내비게이션을 만드는 사업도 행안부의 지원금을 받아 추진하고 있다.

 

강남구·송파구와 함께 ‘강남 3구’로 묶이는 서초구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는 신속한 재건축·재개발이다. 전 구청장은 “사업 결정권을 갖고 있는 서울시가 (재개발·재건축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도록 조합이나 추진위원회 측과 소통을 해나가는 게 우리 역할”이라며 “(재개발·재건축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중재하기 위해 전문가중재단을 만들었다”고 했다. 그는 “(재개발·재건축을 마친) 단지를 점이라고 하면 점과 점을 연결하는 선은 공공의 영역”이라면서 “(재개발·재건축으로 새로 만들어지는) 커뮤니티시설이나 어린이집 등을 ‘생활공유도로’에 위치하도록 설계하게 하는 ‘서초형 재건축가이드라인’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전 구청장은 지난 임기 11개월에 대한 소회를 묻자 “일하는 행복을 마음껏 누리고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그는 “취임 직후부터 코로나19로 지친 구민의 온전한 일상을 회복하는데 집중했고, 우면산 터널 버스 양방향 통행 등 십수년째 이어져온 구의 숙원사업들도 여럿 해결할 수 있었다”고 웃어보였다. 행정고시를 통해 입문한 뒤 30여년간 공직생활을 이어온 전 구청장은 평소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그는 “우리 직원들의 역량이 뛰어나지만, 제가 보고를 받거나 문서로 보는 것과 현장에 가서 주민들과 대면하고 보는 건 하늘과 땅 차이”라고 했다. 전 구청장은 “또 다른 이유는 구청장이 현장을 찾은 것만으로도 속시원해하는 주민들이 계시기 때문”이라며 “오히려 제가 현장에서 에너지를 받는 경우도 많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