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호 부경대 교수 “침수 피해 막으려면 예측 시스템부터 구축해야” [연중기획-안전이 생명이다]

“해마다 되풀이… 원인 파악 선행돼야
지자체·경찰 등 기관 유기적 협력 중요
방지 자금 마련 위한 법률 정비도 시급”

전국 지방자치단체가 여름철 연례행사처럼 물난리를 겪는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지만, 대책 마련은 더딘 실정이다.

이상호 부경대 교수(토목공학전공)는 이와 관련해 “침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선 근본적인 원인과 예측 가능성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그러면서 2020년 7월 발생한 부산 초량동 지하차도 침수사고를 예로 들었다. 그는 “지하차도를 침수시킨 물이 어디서 왔는지부터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부산시와 (관할 자치구인) 동구 등 지자체가 침수 피해를 예측하고 미리 계산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상호 부경대 교수

당시 초량동을 비롯한 부산 전 지역에 짧은 시간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지면서 산지부터 떨어진 빗물이 저지대로 한꺼번에 몰려들었으나, 아무도 이를 예측하지 못했다. 지하차도 출입을 통제하지 않았고, 이런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지하차도에 진입했던 차량 7대가 물에 잠겨 3명이 숨졌다.



반면 부산진구 개금동에서 시작해 동구 범일동으로 흐르는 동천 일대는 저지대로 해마다 침수 피해를 당하는 지역이다. 그런데도 관할 동구는 물론 부산시도 물막이판이나 역류방지기 같은 시설을 설치하지 않아 2020년 동천 인근 자성대 아파트 1층이 모두 물에 잠겨 막대한 재산피해가 났다.

이 교수는 “해마다 되풀이되는 자연재해에도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경우가 빈번하다”며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물막이판과 같은 차수막과 저지대 배수펌프시설을 설치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는 이어 “침수방지대책은 시간과 예산, 노력이 많이 든다”며 “지자체와 경찰 등 유관기관과의 유기적인 협력시스템을 구축하는 비구조적 대책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사례로 든 부산시의 경우 최근 들어서야 ‘도시침수통합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하고, 시험 운영되고 있다. 침수방지대책 자금 마련을 위한 법률 정비도 필요하다고 그는 조언했다. 이 교수는 “도시하천 유역의 침수방지법 등이 조속히 국회를 통과해야 침수 피해를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