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반지하주택의 7.4%가 시간당 100㎜ 강우가 내릴 경우 침수 위험이 높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역별로는 관악구와 강북구, 동작구 등에 침수 취약 반지하주택이 다수 분포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서울연구원이 발표한 ‘서울시 반지하주택 유형과 침수위험 해소방안’에 따르면 2021년 말 기준 서울의 반지하주택 수는 20만2741가구로, 전체 가구의 약 5%를 차지했다. 전체 반지하주택의 80.9%가 1995년 이전에 지어져 대부분 노후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2010~2014년 서울시 전체 반지하주택 중에서 1회 이상 침수된 지역에 있는 반지하주택은 9.7%, 2회 이상 침수지역에 포함된 반지하주택은 1.3%였다. 2회 이상 침수지역 내 반지하주택이 가장 많은 자치구는 동작구로, 621가구(24.4%)가 자리 잡고 있다. 이어 양천구 427가구(16.8%), 관악구 420가구(16.5%), 강서구 380가구(14.9%), 서초구 264가구(10.4%) 등 순이다. 이는 최근 집중호우가 주로 한강 이남에 집중됐음을 의미한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서울시의 장래 방재성능기준(강우처리기준)인 시간당 100㎜ 강우 시 침수예상지역 내의 반지하주택은 1만5102가구로 전체의 7.4% 수준이었다. 자치구별로는 관악구가 1374가구(9.1%)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북구 1367가구(9.1%), 동작구 1308가구(8.7%), 은평구 1259가구(8.3%), 성북구 1254가구(8.3%), 중랑구 1137가구(7.5%) 등이 뒤를 이었다.
인근 하천의 계획홍수위(홍수량에 해당하는 물의 높이) 이하 저지대에 있는 반지하주택은 3만9351가구로 전체의 19.4%에 이른다. 광진구가 4637가구(11.8%), 영등포구 4562가구(11.6%), 중랑구 4362가구(11.1%) 순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