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0.6%를 기록했다. 두 분기 연속 플러스 성장이다. 수입 축소 폭이 수출보다 더 크게 나타나며 ‘불황형 성장’에 그쳤다. 민간과 정부 소비는 줄어들었다.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데다, 성장을 이끈 민간소비도 주춤해 ‘상저하고’ 흐름을 장담하기 어렵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23년 2분기 실질 국내총생산’ 속보치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실질 GDP 성장률은 0.6%(이하 전분기 대비)로 집계됐다.
실질 GDP는 2020년 3분기 이후 9개 분기 연속 성장세를 유지하다 지난해 4분기 수출 급감 등 영향으로 마이너스(-0.3%)로 돌아섰다. 이후 올해 1분기 0.3%로 플러스 전환한 뒤 2분기 성장 폭을 키웠다.
수출보다 수입이 더 큰 폭으로 감소해 결과적으로 성장에 플러스 요인이 됐다. 수출은 전 분기 대비 1.8% 줄었으나 수입 감소 폭이 4.2%로 더 컸다. 1분기 수입 증가로 재고가 쌓인 원유와 천연가스 수입이 줄면서 일시적으로 수입이 크게 감소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수출은 석유제품과 운수서비스에서 감소했으나 자동차 호조세가 이어지고 반도체 생산도 늘어나며 감소 폭을 최소화했다.
신 국장은 “민간소비의 경우 연초 코로나19 방역 조치 전면 해제로 크게 늘었던 대면활동 관련 소비가 일시적으로 주춤했고, 연휴 기간 중 기상 악화로 대면 활동이 일부 제약된 영향이 있다”며 “정부소비는 2분기 들어 코로나19·독감 환자 수가 감소하며 건강보험 지출이 줄었고, 방역 관련 지출도 감소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상반기 GDP 성장률은 0.9%로 한은의 전망치(0.8%)를 웃돌았다. 한은이 전망한 연 1.4% GDP 성장률을 기록하기 위해선 하반기에 성장률이 1.7% 성장해야 한다. 한은은 3분기와 4분기 연속으로 0.7% 성장을 유지하면 목표 성장률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한국 경제가 ‘상저하고’ 성장을 달성할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제조업 경기의 회복 시점이 불분명하고, 수출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도 여전하기 때문이다. 중국의 2분기 GDP는 6.3% 성장을 기록해 시장 전망치(7.3%)를 밑돌았다. 소비 회복도 더디다. 소비자물가지수는 2%대로 하락하고 있으나 외식비 등 체감물가가 여전히 높아 민간소비도 완만한 회복에 그칠 전망이다.
신 국장은 “방역 조치 해제 등의 기저 효과가 해소되고, 소비자심리지수도 개선되고 있어 향후 민간소비는 완만한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며 “상반기 성장률은 예상을 웃돌았지만, 중국 경제에 대한 불확실성 등이 크기 때문에 연간 전망치는 유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