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유지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최근 국제유가 상승을 반영해 기존보다 0.1%포인트 상향 조정한 3.5%로 내다봤다.
KDI는 10일 이 같은 내용의 ‘경제전망 수정’을 발표했다.
KDI는 “올해 상반기 경제가 기존 전망에 부합했고, 하반기에도 기존 전망과 비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며 지난 5월 전망치(1.5%)를 유지했다. 이는 최근 주요 기관이 잇달아 전망치를 하향 조정한 것과 비교된다. 지난달 26일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이전보다 0.1%포인트 내린 1.4%로 수정했고, 정부(1.4%), 한국은행(1.4%), IMF(1.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1.5%) 등도 모두 0.1∼0.2%포인트 하향 조정했다.
KDI는 “올해 상반기 성장률은 작년 동기 대비 기준 KDI의 전망과 같은 0.9%였다”며 “하반기에도 기존 전망(2.0%)과 비슷한 성장세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경제가 상반기에는 어렵지만 하반기에 살아난다는 정부의 ‘상저하고’ 주장과 일치한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경기 부진이 완화된 이유로 제조업 중심의 민간부문 성장이 꼽혔다. 정부부문이 위축됐지만 민간부문의 성장세가 확대됨에 따라 국내총생산(GDP)이 전기 대비 0.6% 증가한 영향이 컸다는 분석이다. 특히 자동차와 반도체를 중심으로 수출 감소폭이 축소된 것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KDI는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를 3.4%에서 3.5%로 0.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최근 오름세인 국제유가를 반영한 결과다. 다만 내년에는 물가상승률이 2.5%로 비교적 안정될 것으로 예측했다.
KDI는 향후 위험요인으로 중국의 경기 부진 심화, 전 세계 물가 상승세 확대에 따른 금리 인상 지속 등을 언급했다. 최대 교역국인 중국의 부동산 시장 급락 및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 우리나라 경제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미국의 긴축 기조도 물가와 환율에 상승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대내적으로는 40조원 이상의 세수결손으로 인한 재정지출 집행 축소도 위험요인으로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