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파업 수순’… 노조 “찬반투표서 73.4%가 찬성”

사측 인력 감축안에 교섭 번번이 결렬돼

서울 지하철 1∼8호선 운영사인 서울교통공사(이하 공사) 노동조합이 진행한 총파업 찬반 투표에서 찬성률이 73.4%를 기록, 가결됐다. 오는 17일 서울지방노동위원회의 최종 조정회의에서 공사 노사가 합의점을 찾지 못할 경우, 노조는 18일 총파업 투쟁 방침을 공표하는 기자회견을 열 방침이다. 파업이 현실화할 경우 ‘시민의 발’인 지하철이 멈추게 돼 크고 작은 피해가 우려된다.

 

혼잡도가 높은 한 서울 지하철 승강장의 모습. 기사 내용과는 무관. 연합뉴스

16일 공사 양 노조 임단협 연합교섭단에 따르면 지난 12일부터 이날까지 진행한 찬반 투표 결과 이 같은 결과가 나왔다. 교섭단엔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공공운수노조, 한국노동조합총연맹 공공연맹이 참여하고 있다. 투표엔 양 노조 조합원 1만4049명 중 81.0%인 1만1386명이 참여했다. 앞서 교섭단은 사측과 임금·단체교섭협상(임단협)이 번번이 결렬되자 찬반 투표를 벌였다.

 

공사 사측과 교섭단은 지난 7월11일 제1차 본교섭을 시작한 이래 10차례 교섭(본교섭 3회·실무교섭 7회)을 진행했으나 모두 결렬됐다. 양 측은 인력 감축 문제를 놓고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고 한다. 지난해 공사의 누적 적자는 17조6808억원에 이른다. 사측은 경영 정상화를 위해 2026년까지 2211명을 감축하는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공사 전체 정원의 약 13.5%다.

 

노조 측은 인력 감축이 노동자에게만 책임을 떠넘기는 안이라면서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무리한 인력 감축이 안전 문제로 직결될 수 있다고도 주장한다. 교섭단은 지난 4일에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 노동쟁의 조정을 신청했다. 지난해에도 인력 감축 문제로 노조가 2016년 이후 6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한 바 있다. 하지만 같은 날 자정 노사가 극적으로 접점을 찾으면서 일단락됐다.

 

사측은 지난달 25일 교섭단과 필수유지 업무협정을 맺으며 파업 대비에 나섰다. 자연 재난이나 미세먼지 등 사회재난 발생 시 파업 중이라도 필요한 범위 내 근무에 복귀시킬 수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노조 측은 오는 19일에는 조합원 총회를 열 예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