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가 외면에… 헛심만 쓴 농진청 농기계 개발

4억 들인 들깨 수확용 콤바인 보급 ‘0’
간척지용 트랙터도 여전히 실적 저조
“구입비 대비 효율 떨어져… 제고 필요”

농촌진흥청은 지난해 4억원을 들여 들깨 수확용 콤바인을 개발했다. 들깨를 손쉽게 베거나 탈곡하고 모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농기계라고 하지만 정작 수요자인 농민들이 이를 외면하면서 아직까지 단 한 대도 보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에 14억원이 넘는 예산을 들여 2020년 첫선을 보인 간척지용 트랙터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사용 농가마다 실용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지금까지 3년간 보급한 실적은 10대에 불과하다. 이처럼 농촌진흥청의 새로운 농기계 개발·보급 사업 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농촌진흥청 청사 전경

1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제주 서귀포시)이 농촌진흥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농기계 개발 및 보급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년부터 지난해까지 5년간 개발한 농기계는 총 81종으로 집계됐다. 매년 15∼19종의 새로운 농기계를 선보인 셈이다. 여기에 투입된 예산은 총 281억6500만원이다.

하지만 142억9400만원을 들여 개발한 농기계의 절반이 넘는 44종의 농가 보급실적은 50대 이하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22억7500만원의 개발비를 들인 10종은 단 한 대도 보급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많은 예산과 연구 인력을 통해 개발한 농기계가 영농 현장에서 외면받는 이유는 구입비 대비 효율성이 기대에 못 미치기 때문이라는 게 상당수 농가들의 설명이다.

한 간척지 재배 농민은 “일반 콤바인으로 보리와 밀, 콩 등 여러 종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는데 굳이 특정 작물에 한정한 농기계를 따로 구입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농기계 보급 실적 저조로 밭농업 기계화율 제고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국립농업과학원이 발표한 ‘2022 농작업 기계화율 조사’에 따르면 논벼 기계화율은 99.3%로 100%에 이르렀지만, 밭농업 기계화율은 63.3%에 그쳤다. 농진청의 농기계 개발 사업 대부분이 밭농업 기계화율 제고를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나, 보급 실적이 저조하다 보니 밭농업 기계화율 제고가 한계에 부딪힌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다.

위성곤 의원은 “농진청이 개발하는 농기계의 보급이 저조한 이유는 현장 여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실용성과 경제성 평가를 보다 철저히 하고 개발한 농기계를 농민에게 적극 알리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