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체 절단 생존자 구조… ‘레디 코리아’ 2차 훈련 가보니

실제 기반 선박사고 상황 설정
울산 용연부두 유관기관 총출동
해경, 해상 표류 선원 헬기 구조
소방정 투입 급유선 화재 진압도
18명 조난자 구조 골든타임 사수

“전복된 어선 에어포켓에 선원 10명 생존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행정안전부와 해양수산부, 울산시, 해양경찰청 등 17개 기관은 6일 오후 2시 울산신항 용연부두에서 실제 상황을 방불케 하는 해양선박사고 대응훈련을 실시했다. 훈련 상황은 2017년 12월 인천 영흥도 인근에서 급유선과 어선 충돌로 15명이 사망한 실제 사건을 기반으로 설정됐다.

6일 울산신항 용연부두에서 실시한 해양선박사고 대응훈련에서 해양경찰과 소방관들이 화재 진압훈련을 벌이고 있다. 행안부 제공

이날 오전 5시쯤 울산 간절곶 동방 30해리 해상에서 ‘영덕호’(어선)와 ‘울산호’(급유선)가 충돌한 상황을 가정해 훈련이 시작됐다. 짙은 안개가 낀 새벽에 귀항하던 영덕호와 해상으로 향하던 울산호가 부딪친 것이다. 충돌 여파로 파손된 영덕호가 전복되면서 18명의 조난자가 발생했다.

 

해경 구조선이 현장에 급파됐다. 1000t급 대형 경비함정 ‘1009함’과 고속단정 2척이 모습을 드러냈다. 고속단정을 타고 영덕호에 접근한 구조대원들이 뒤집힌 선체 위로 올라탔다. 선체 위에서 망치로 타격 신호를 보내자 내부에서 생존 신호가 돌아왔다. 구조대가 파악한 생존자는 10명이었다. 구조대는 우선 선체 침몰을 방지하기 위해 양옆에 리프트백(lift bag)을 설치했다. 어선 주변에 그물망 등 장애물이 있어 잠수를 통한 선체 진입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구조대는 선체 위를 절단해 내부에 있던 생존자들을 구했다. 해양구조협회 소속 민간잠수사도 투입돼 해경을 지원했다.

 

같은 시각 해상에선 표류 선원들에 대한 구조가 이뤄졌다. 의식이 없는 구조자를 발견한 대원들은 해상에서 신호홍염을 피워 헬기 ‘S-92호’에 도움을 청했다. 헬기에서 줄을 타고 내려온 대원이 구조자를 태워 곧바로 의료기관으로 향했다. 울산시와 울산 남구는 육지에서 사상자를 분류·이송하고 긴급복지를 지원했다.

 

구조 작업이 마무리될 때쯤 울산호 화재 진압 작전이 시작됐다. 해경 ‘소방1호’와 ‘화학방제1함’, 울산해양환경공단 ‘에코미르호’가 울산호를 둘러싸고 소화포를 발사해 화재를 진압했다. 에코미르호는 유류 유출로 인한 해양 환경오염을 막기 위해 오일펜스를 설치하고 유출유를 회수했다.

 

이번 사고는 남해 해경청이 처음 인지했다. 이후 상황관리시스템을 통해 행안부와 해수부, 소방청, 해경청 등 관계기관에 상황을 전파했다. 행안부는 즉시 상황판단회의를 개최하고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했다. 해수부에서는 위기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했고, 울산시는 재난문자를 발송하고 지역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행안부는 큰 피해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했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현장지휘차량에서 원격으로 중대본 회의를 개최하고 현장을 지휘했다. 17개 기관 430명, 선박 17척, 헬기 1대 등이 동원된 이번 훈련은 시작한 지 약 1시간 후인 오후 3시쯤 종료됐다.

 

이 행사는 올해 두 번째로 실시되는 ‘레디 코리아’ 훈련이다. 이 장관은 “신속한 상황전파를 통한 출동, 전복선박 선체절단 인명구조, 해상화재 진압, 해양오염 방제 등 고난도 훈련을 통해 실전과 같이 대응체계를 숙달하는 훈련”이라며 “실전형 합동훈련인 레디 코리아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 잠재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복합재난에 대한 대비체계를 튼튼히 보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