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어떤 인간도 피해 갈 수 없는 것, 바로 죽음이다. 모든 이에게 공평하게 내려진 운명이라는 사실은 그러나 내게 별다른 위안이 되지 않았다. 겪은 사람은 너무나 많은데, 그것이 정확히 어떤 것인지를 아는 사람이 단 한 명도 없다는 사실(죽은 자는 말이 없으므로)이 나를 오히려 더 두렵게 했다. 어린 시절 나는 언제, 어떤 형태로, 불쑥 찾아올지 모를 그 미지의 소멸이 너무나 두려워 한동안 밤마다 울었다. 부모님은 어린 딸이 죽음을 생각하며 질질 짜는 모습에 당황스러워하다가, 신기해하다가, 이내 걱정스럽게 바라보곤 했다.
그때 내가 왜 그토록 죽음을 두려워했는지, 지금도 알지 못한다. 확실한 건 그로부터 몇 년 후, 가까운 사람의 죽음을 경험하면서 죽음을 이전과는 다르게 감각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중3 크리스마스이브. 나는 그날 갑작스럽게 아빠를 잃었다. 죽음에 대한 나의 공포는 가까운 사람의 실질적인 죽음으로 인해 더 가산되진 않았다. 그저 미지였기에 공포였던 죽음이 이토록이나 가까이 있을 수 있다는 걸 비현실적으로 실감했을 뿐이다. 그리고 그날 이후 지금까지도 종종, 구급차에 누워 인공호흡기로 잠시 삶을 지탱하는 아빠를 바라보는 ‘나’를 본다. 유체 이탈한 기분으로. 그런 나에게 누군가가 말했다. “너의 애도는 아직 끝나지 않았는지도 몰라.” 사람은 왜 죽어야 하나, 애도는 어떻게 해야 하나, 는 그렇게 내 인생의 화두로 덜컥 남겨졌다.
‘물포자(물리포기자)’인 내게 죽음에 대한 위로를 건넨 건 뜻밖에도 물리였다. “죽음이란 원자의 소멸이 아니라 원자의 재배열이다. 내가 죽어도 내 몸을 이루는 원자들은 흩어져 다른 것의 일부가 된다.” 물리학자 김상욱 교수가 쓴 ‘하늘과 바람과 별과 인간’에서 이 문장을 발견하곤 동공이 흔들렸다. 최근 인터뷰로 그를 만날 기회가 있어 관련해서 더 물었다. 그가 다정하게 말했다. “우주를 관찰해보면 살아 있는 건 거의 없어요. 지구에서조차 생명은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아요. 지구의 대부분은 흙이죠. 그러니까, 죽어있는 상태가 더 보편적인 거예요. 100여년 살다가는 인간은, 우주의 나이로 봤을 땐 정말 눈 깜짝할 시간에 생명이라는 특별한 상태로 있다가 죽음이라는 자연스러운 상태로 돌아가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