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당이 안 돼, 둘째 포기했다”… 급등한 ‘육아 물가’에 저출산 심화 우려

“매달 육아에 100만원 이상 들어간다. 하루가 다르게 (육아 비용이) 오르니 감당이 안 된다. 둘째 생각이 있었는데 포기했다.”

 

결혼 3년차인 윤모(33)씨는 지난해 아들을 출산한 후 살인적인 ‘육아물가’에 둘째 생각을 접고 이른 복직을 준비 중이다. 남편의 수입과 육아휴직 수당으로는 치솟는 육아물가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부에서 70만원가량의 영아급여도 나오지만 역부족이다. 윤씨는 “아이는 가진 자의 ‘특권’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올해 들어 분유·기저귀 등 육아 관련 물가가 큰 폭으로 뛰며 전체 소비자물가 평균을 크게 웃돈 것으로 나타났다. 육아물가의 상승은 가뜩이나 심각한 저출산 현상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3일 서울의 한 유통매장에서 각종 육아용품이 판매되고 있다. 뉴시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영유아 가구가 주로 소비하는 11개 상품·서비스 중 절반이 넘는 6개 품목의 올해 1∼10월 물가 상승률이 전체 소비자물가 평균(3.7%)을 웃돌았다.

 

11개 품목은 분유, 이유식, 유아동복, 유아용 학습교재, 아동화, 종이 기저귀, 장난감, 유모차, 유치원 납입금, 보육시설 이용료, 산후조리원 이용료 등이다.

 

정부·지방자치단체의 지원 대상인 유치원납입금과 보육시설 이용료를 제외하면 물가 조사 대상 육아용품의 3분의 2가 전체 물가 상승률을 웃돈 셈이다.

 

1∼10월 물가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품목은 유아동복이다. 전년동기 대비 12.1% 상승하며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85년 이후 최대 상승률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기저귓값 상승률(9.6%)도 10%에 육박했다. 외환위기 당시인 1998년(10.6%) 이래 가장 높다. 원유 가격 상승으로 인해 분유 가격 또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3% 올랐다. 2012년(8.1%) 이후 11년 만에 최대 폭이다.

 

아동화 값도 지난달까지 6.3% 오르며 2008년(6.6%) 이후 15년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유아용 학습교재 값도 같은 기간 7.5% 올라 고등학교 학습서 수준(8.1%)의 상승률을 보였다. 초등학교 학습서(2.1%), 중학교 학습서(1.0%) 물가 상승률의 3∼7배 수준이다.  산후조리원 이용료와 장난감도 각각 5.2%, 1.6% 올랐다.

유아동복·기저귀·분유 등 2023년 들어 육아용품 물가가 급등한 것으로 알려진 13일 서울시내 대형 마트에 아동복이 진열돼 있다. 뉴스1

육아 업계가 저마다 고급화 전략을 내세우며 평균치를 웃도는 물가 상승률이 일반화되는 모양새다. 실제로 국책연구기관 육아정책연구소가 발간한 ‘육아물가지수(Ⅳ)’ 보고서에 따르면 2013∼2020년 육아 관련 상품·서비스 중심으로 산출한 육아물가 상승률은 2% 내외로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의 약 두 배에 달했다.

 

이러한 육아용품 및 서비스 가격의 상승은 양육 부담을 높여 지금의 저출산을 심화시킬 수 있어 별도의 관리가 필요하다. 하지만 유치원·보육시설 비용을 제외하면 대부분 육아 상품·서비스 물가는 별도 모니터링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국책연구기관인 육아정책연구소는 11개 육아용품의 가중치를 육아 가구 중심으로 재산정한 육아물가지수를 개발해 2013년부터 발표했었지만, 관련 예산이 줄면서 2020년을 끝으로 지수 발표를 중단한 상태다.

 

최슬기 KDI 국제정책대학원 교수는 “육아 물가 상승은 출산을 원하는 사람조차 포기하게 만들 수 있다”며 “관련 물가를 모니터링하고 이를 근거로 정부가 대응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