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北, 정찰위성 사진 공개 안하는 이유

과거 북한 매체들은 김정일 전 국방위원장의 현장 시찰 사진과 영상을 한참 시간이 흐른 뒤에 공개하는 일이 많았다. 촬영 날짜를 공개하지 않는 경우도 다반사였다. 최고사령관 동지의 신변안전 문제를 들어 일정 자체를 비밀에 부쳤기 때문이다. 김 전 위원장 사진 가운데는 조작됐거나 변형된 사례도 상당수였다. 언론을 이용한 선전 선동이라고는 하나 사전검열에 많은 시간을 허비했다는 의미다.

김정은 국무위원장 등장 이후 그의 일거수일투족은 일부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그다음 날 바로 보도되기 시작했다. 당일 저녁에 보도된 적도 있다. 김정일 시대와 비교하면 비약적인 발전이다. 미사일 발사 장면을 바라보며 웃는 김 위원장의 모습은 어느새 그의 대표 사진이 됐다. 김 위원장의 웃고 있는 모습 뒤로 북한 잠수함이 배경으로 등장했던 2015년 5월 9일자 북한 노동신문 보도 이후 봇물을 이뤘다고 할 수 있다.



나치 프로파간다를 연상시킬 정도의 이런 선전술이 체면을 구긴 적도 있다. 2017년 8월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로 추정되는 ‘북극성-3’ 공개에 앞서 노동신문 등을 통해 지하벙커 사진을 공개했을 때다. 김 위원장이 김락겸 전략군사령관으로부터 괌 포위사격 방안을 보고받는 모습이 담겼다. 미사일별 작전 가능 범위까지 표시됐다. 세상이 떠들썩했다. 하지만 이들 사진 가운데 괌 미군기지가 6년 전에 찍힌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변변한 위성사진 한 장 없는 북한의 초라한 현실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북한이 어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가 미국 백악관과 펜타곤(국방부) 등을 촬영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앞서 이 정찰위성이 한반도는 물론 미국령 괌과 하와이 등 한·미 주요 군사기지를 촬영했다고도 했다. 연일 “만리를 굽어보는 눈을 가졌다”고 자랑하고 있다. 그런데 어찌 된 영문인지 촬영된 위성사진은 공개하지 않는다. 물론 위성 정찰 능력이 노출되는 것을 기피할 수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위성사진을 공개할 경우 낮은 해상도 성능이 들통날 것을 우려하고 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정찰용이라기보다 대내외 과시용이란 것이다. 북한의 주장이 허풍인지 아닌지는 머지않아 드러날 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