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84년 12월4일(음력 10월17일) 우정총국의 개국을 축하하는 낙성식(落成式)이 열렸다. 그러나 이날의 축하연은 곧바로 처참한 살육의 현장으로 변하였다. 김옥균, 박영효, 홍영식 등이 주도한 갑신정변이 이곳에서 시작되었기 때문이었다. 현재 서울 종로구 조계사 옆에 위치했던 우정총국은 우리나라 최초로 근대적 우편 업무를 위해 설치된 기관으로 초대 책임자인 총판은 홍영식이었다. 현재 명동 서울중앙우체국 앞에 홍영식 동상이 있는 것은 우정총국 초대 총판이었던 그를 기억하기 위함이다.
김옥균, 박영효, 서재필 등 급진개화파들은 동료 홍영식이 책임자로 있는 우정총국의 개국일을 거사일로 잡았다. 1884년 12월4일의 ‘고종실록’은 “이날 밤 우정국에서 낙성식 연회를 가졌는데 총판 홍영식이 주관하였다. 연회가 끝나갈 무렵에 담장 밖에서 불길이 일어나는 것이 보였다. 민영익도 우영사로서 연회에 참가하였다가 불을 끄려고 먼저 일어나 문밖으로 나갔는데, 밖에서 여러 흉도들이 칼을 휘두르자 나아가 맞받아치다가 민영익이 칼을 맞고 대청 위에 돌아와서 쓰러졌다.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놀라서 흩어지자 김옥균, 홍영식, 박영효, 서광범, 서재필 등이 자리에서 일어나 궐내로 들어가 곧바로 침전에 이르러 변고에 대하여 급히 아뢰고 속히 거처를 옮겨 변고를 피할 것을 청하였다”고 급박하게 전개되었던 그날의 정황을 기록하고 있다. 개화파가 제거 1순위로 삼은 수구파의 핵심 민영익은 중상을 입었으나, 서양인 의사 알렌의 치료 덕분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다. 이 사건은 알렌의 의술을 높이 평가한 고종이 최초의 근대식 의료 기관인 제중원을 설립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개화파들은 우정총국의 거사 성공을 확인한 후 바로 고종이 거처한 창덕궁으로 향했다. 사전 계획대로 고종과 명성황후를 경우궁으로 납치해 오기 위해서였다. 경우궁은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를 모신 사당으로, 개화파가 왕과 왕비의 거처를 이곳으로 옮긴 목적은 공간이 협소하여 고종을 압박하기가 유리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