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중소기업계는 암울한 경영 환경을 전망하고 있다. 높은 금리 속에서 기업 부채가 빠르게 늘어날 것이라는 관측이다. 해외 바이어 유치가 쉽지 않은 중소기업계의 수출 인프라 개선에 정부가 적극 나서고, 비용 절감 등 자체 회생 전략을 세워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말 기준 예금은행의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전달보다 3조8000억원 늘어난 998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사상 최대 규모다. 지난해 중소기업 대출 잔액은 1000조원을 돌파한 것으로 보인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024년 하반기부터 금리를 인하한다고 해도 우리가 미국보다 앞당겨 금리를 내릴 수 없어 고금리에 따른 금융 부담이 계속될 것”이라며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소비 위축도 내수에 크게 의지하는 중소기업에겐 큰 위기”라고 진단했다.
한계기업이 늘어나는 점도 대비해야 할 부분이다.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못 낸 한계기업은 2022년 기준 42.3%로 역대 최고다. 추 본부장은 “회생 전략을 어떻게 만들지 고민할 때”라며 “소상공인도 소공인으로 육성할 곳과 중소기업으로 인력을 전환할 곳을 구분해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소상공인 업계도 중소기업계와 마찬가지로 ‘내수 침체’를 당면한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았다.
오세희 소상공인연합회장은 “국내 사업체의 95%를 차지하는 소상공인은 코로나19 3년, 고물가·고금리·고환율의 삼중고에 이어 경기침체, 복합위기 등으로 어려움이 크다”며 “온누리상품권 가맹 대상 확대 등 내수 소비 활성화를 위한 지원방안이 절실하다”고 밝혔다.
에너지 비용 부담 완화 요구 목소리도 높다.
‘전기료 폭탄’이 지난해 내내 화두였던 만큼 올해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오 회장은 “전기, 가스 등 연료 물가가 큰 폭으로 상승해 비용 부담이 막대하다”며 “난방비 대란이 재발하지 않게 소상공인 바우처, 요금할인 지원 현행 전기 요금체계 개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