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생산 석 달 연속 증가세… 경기 회복 ‘봄 기지개’ 켜나

통계청, 1월 산업활동동향

전산업생산지수 전월보다 0.4%↑
반도체 8.6%·車 3.2% 감소에도
‘갤24 효과’ 통신·방송장비 47%↑
소비도 화장품 등 판매 늘어 0.8%↑

설비투자 줄고 건설 수주는 54%↓
고물가·고금리로 내수 악화 부담
정부 “경기 추이 더 지켜봐야” 분석

산업생산이 지난 1월 들어 0.4% 늘며 지난해 11월부터 석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 갔다. 반도체는 감소했지만, 삼성전자의 전략 스마트폰 ‘갤럭시S24’ 출시 등에 힘입어 통신 등에서 생산이 크게 늘었고, 건설업도 넉 달 만에 반등했다. 소비 역시 화장품 등 비내구재 판매가 늘면서 두 달 연속 증가세를 기록했다. 다만 건설업 및 소비 증가에 갤럭시S24 출시 등 일시적 요인이 반영된 데다 건설수주가 큰 폭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향후 경기 전망에 불확실성이 크다는 게 정부의 분석이다.

통계청이 4일 발표한 ‘2024년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1월 전산업생산지수(계절조정·농림어업 제외)는 113.8(2020년=100)로 전월보다 0.4% 늘었다. 산업생산은 작년 11월 0.3% 반등한 뒤 12월 0.4% 등 석 달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4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1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부문별로 보면 핵심 축인 제조업(-1.4%)을 비롯한 광공업 생산은 1.3% 감소했다. 반도체가 8.6% 줄었고, 기계장비와 자동차도 각각 11.2%, 3.2% 줄었다. 반도체를 살펴보면 작년 11월(9.8%)과 12월(3.6%)에 큰 폭으로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와 함께 분기 초 생산이 감소하는 특성이 반영됐다고 정부는 설명했다. 이에 반해 통신·방송장비는 갤럭시S24 출시 등에 힘입어 46.8% 급증했다. 정부는 28개 제조업종 중 20개에서 생산이 증가해 반도체 감소분을 만회했다고 설명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1.0%)에서 줄었으나 정보통신(4.9%)과 부동산(2.6%) 등에서 늘어 0.1% 증가했다. 건설업 생산은 12.4% 늘며 작년 9월(0.4%) 이후 넉 달 만에 반등했다. 액화천연가스(LNG) 터미널 공사 등의 영향으로 토목에서 12.8% 늘었고, 서울 개포동 대단지 아파트 준공 전 마무리 공사 영향 등으로 건축도 12.3%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보여 주는 소매판매는 0.8% 늘어 두 달 연속 증가했다. 의복 등 준내구재(-1.4%)와 승용차 등 내구재(-1.0%) 판매는 줄었으나 화장품 등 비내구재는 2.3% 늘었다. 내구재는 전기차 보조금 미지급에 따른 위축이 판매 감소의 배경이 됐다. 이에 반해 비내구재는 중국인 관광객 증가에 따른 면세점 판매 등에 힘입었다.

설비투자는 5.6% 감소했다. 법인차 전용 연두색 번호판 제도가 도입되고, 보잉사 동체 구멍 사고 등으로 항공기 도입이 지연된 여파로 풀이된다. 향후 건설 경기를 가늠할 수 있는 건설수주(경상)는 전년 동월 대비 53.6% 줄어 2010년 10월(58.9%) 이후 13년3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감소했다. 주택 등 건축(-47.7%)과 기계설치 등 토목(-60.0%) 모두 줄었다.

◆생산 석 달째 증가에도 “일시적 요인”

산업생산이 석 달 연속 증가했지만 향후 경기 불안 요인은 적지 않다는 게 정부의 진단이다.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먹거리를 중심으로 한 고물가와 장기화한 고금리에 소비를 비롯한 내수가 악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획재정부 역시 1월 소비 지표는 긍정적이지만 휴대폰 출시, 연초 여행수요 확대 등 일시적 요인이 많아 향후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기재부는 “소비·투자는 소비심리 개선, 해외발 입국 증가세, 주력 업종 설비투자 확대 계획 등은 (경기) 상방 요인”이라면서도 “가계부채·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리스크와 건설수주 부진 및 주요 사업장 공사 지연 등은 하방 요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