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국내 기업들이 6개월마다 상품 가격을 인상, 물가를 빠르게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소비자들이 민감하게 반응하는 인상 ‘폭’ 대신 인상 ‘빈도’를 늘린 것으로, 국제유가 등 새로운 충격 발생 시 인플레이션 폭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1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팬데믹 이후 국내기업 가격조정행태 변화 특징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기업의 가격조정(인상·인하, 농수산물 제외) 빈도는 2018∼2021년 월평균 11.0%에서 2022∼2023년 15.6%로 상승했다. 가격조정 빈도는 해당 기간 가격조정 기회들 가운데 실제로 기업이 인상·인하를 단행한 횟수의 비율을 말한다.
이 빈도를 기간으로 환산하면, 평균 상품가격 유지 기간이 같은 기간 약 9.1개월에서 6.4개월도 단축됐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연 1.3회 정도 가격을 올렸다면 팬데믹 이후에는 한해 약 두 번 올렸다는 의미다.
한번 올릴 때 인상폭은 평균 20∼25%, 인하율은 15∼20%로 팬데믹 전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예를 들어 시리얼 A의 경우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기준가격이 1번 인상됐으나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는 2번 올랐다. 라면 B의 경우에도 2018년부터 2021년까지 가격 인상은 1번에 그쳤으나 2022년부터 2023년의 경우 가격을 4번 인상하고 1번 인하했다.
한은은 물가 상승률이 1%포인트 오를 때 개별 품목의 가격 인상 빈도 역시 약 1%포인트 증가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물가 상승률이 4∼5%대로 높은 시기에는 같은 비용 충격(유가·곡물가 상승 등)에도 기업들이 인상 빈도를 더 늘려 그 충격이 물가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보고서는 “가격 변화에 따른 소비자의 저항 및 민감도, 경쟁품으로의 대체효과 등을 고려해 기업들은 가격인상 시 ‘폭’보다는 ‘빈도’ 조정을 선호함에 따라 물가상승률과 가격 인상빈도 간 상관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품목별로 보면 대체로 주류는 가격 변동폭이 크지 않았던 반면 조미료·식용유지, 축·수산물 가공품 등 수입 원재료 비중이 높아 2022년 이후 비용 인상 압력을 받았던 품목들의 가격 인상빈도가 더 증가했다.
이동재 한은 물가동향팀 과장은 “지금처럼 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목표수준(2%)을 상회하는 상황에서 향후 새 충격이 발생하면 인플레이션 변동 폭이 물가 안정기보다 더 커질 수 있는 사실에 유의해야 한다”며 “앞으로 물가 상황을 판단할 때 기업의 가격 조정 행태가 과거 수준으로 돌아가는지도 지속적으로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