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0 총선에 나갈 더불어민주당 위성정당의 비례대표 후보 윤곽이 드러났다. 더불어민주연합은 그제 전지예 금융정의연대 운영위원, 정영이 전국농민회총연맹 구례군농민회장 등 4명을 시민단체 몫 비례대표 후보자로 정해 추천했다. 그런데 이들의 이력을 보니 실망을 금할 수 없다. 민주당에 재고를 강력히 촉구한다.
민주연합 비례대표 순번 1번으로 선출된 전 후보는 반미단체 ‘겨레하나’ 활동가 출신으로 한·미 연합 군사훈련 중단을 주장해왔다. 겨레하나는 이적단체인 조국통일범민족연합(범민련)에서 활동한 조성우씨가 이사장이다. 조씨가 비례대표 후보 추천 심사위원이었다니, 사실상 ‘셀프 공천’ 시도 아닌가. 정 후보는 박근혜정부 시절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반대 시위를 주도했다. 나날이 고도화하는 북한 미사일로부터 우리를 지키겠다는데 훼방을 놓은 것이다. 한·미동맹을 부정하고 사드 철거를 외친 사람들이 국회에 입성해 외교통일위, 국방위, 정보위 등에서 활동하며 안보 관련 기밀에 접근할 수 있다는 생각만으로도 아찔하다.
논란이 확산하자 민주당 최고위원회는 어제 오전 비공개 회의를 열었다. 이 자리에선 전 후보 등 시민사회 몫 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들에 대한 우려가 쏟아졌다. “진보당 후보로 나왔어야 하는데 일종의 눈속임을 한 것”이란 성토도 있었다는 후문이다. 민주당은 향후 검증 과정에서 후보 재추천이 이뤄질 수 있다며 퇴로를 열어놨지만 ‘늑장 대응’이란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애초 반미·친북 세력과는 연대하지 않겠다고 확실히 선을 그었다면 뒤늦게 호들갑을 떨 필요도 없지 않은가.
민주당은 앞서 진보당에도 민주연합 비례대표 의석 3석을 할애했다. 진보당은 2014년 헌법재판소가 ‘북한식 사회주의 실현을 추구하는 위헌정당’이라고 결정해 해산시킨 통합진보당의 후신이다. 진보당이 민주당 등에 업히지 않았다면 비례대표 의석을 한 석도 못 얻을 게 뻔하다. 선거법상 총선에서 정당 지지율이 3%는 넘어야 의석을 배정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경쟁력 없는 정파가 손쉽게 국회에 입성하는 것은 비례대표제 도입 취지에 어긋난다.
70년 전통의 민주당은 집권 경험이 있는 수권정당이다. 그런데도 왜 반미·친북 세력의 숙주 노릇을 자처하려 드는지 납득이 안 간다. 국회 다수당이 될 수만 있다면 반미단체 활동가, 사드 반대시위 주도자 등과 손잡아도 상관없다는 건가. 이재명 대표의 설명이 듣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