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폐지를 주워 생계를 이어가는 노인들의 일자리와 생계·주거, 돌봄, 안전 등 4대 분야를 지원하는 종합대책을 내놨다. 지난해 서울 폐지 수집 노인 실태조사에서 폐지 수집 노인 2400여명의 월 평균수입이 15만원에 그치고, 이들 중 상당수가 소득 감소와 건강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면서다.
11일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해 5∼6월 25개 자치구 재활용품수집상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태조사 결과 시내 폐지 수집 노인은 2411명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는 76세 이상이 65%로 3명 중 2명꼴이었고, 80세 이상도 25%에 달했다. 성별로는 여성이 60%로 남성보다 많았다.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포함)는 23%, 기초연금 수급자는 72%로 파악됐다.
폐지 수집 이유(중복응답)로는 ‘경제적 어려움’이 75%로 가장 많았다. 주5일 이상 폐지수집을 한다는 노인은 50%를 차지했다. 하루 활동 시간은 3∼6시간이라는 응답이 52%로 과반이었다. 월 평균수입은 15만원으로 집계됐다. 활동상 어려움(중복응답 허용)으로는 소득감소 65%, 건강 42%, 교통사고 위험 9%, 수집경쟁 9% 등의 순이었다.
시는 아울러 폐지 수집을 계속하길 원하는 노인의 경우 공공일자리의 일종인 ‘폐지 수집 일자리 사업단’을 연계해 수입을 늘릴 방안을 찾는다. 올해 폐지 수집 공공일자리는 13개 자치구에 1253개가 있다. 폐지를 주워서 각 자치구와 협약한 공동판매처에 가져다 주면 기존 월 수입의 두 배가량(최고 38만원, 평균 30만원)을 지급받을 수 있다. 건강 등 이유로 폐지 수집을 자주 하지 못해 생계 유지가 힘들거나 주거 어려움에 부딪힌 노인은 서울형 긴급복지 대상자로 선정해 생계비를 지원하고, 희망온돌기금 등을 통해 주거비도 지원한다.
홀로 생활하는 폐지 수집 노인에겐 노인종합복지관 등이 주 1회 이상 직접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일상생활을 지원하는 맞춤형 돌봄서비스를 강화하고, 사회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자조모임 안내에도 적극 나선다. 동주민센터 방문간호사가 주기적인 건강 관리와 상담을 제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인공지능(AI) 또는 사물인터넷(IoT) 기능이 탑재된 기기를 지급해 비대면으로 만성질환 등을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 밖에 시는 기업 후원 등과 연계해 폐지 수집 도중 발생하기 쉬운 다양한 안전·교통사고를 예방하는 내용의 ‘경량 안전 리어카’와 야광 조끼·밴드·장갑 등 안전용품 지급에 적극 나선다. 쿨타월과 방한모·방한복 등 혹서기, 혹한기 대비 용품을 지원하고 경찰서와 협력해 교통안전교육도 시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