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소위 비트코인 반감기와 맞물린 공급량 감소와 미국 ETF 편입으로 촉발된 제도권의 관심이 더해지면서 수급상의 불균형이 부각된 데 기인한 것이다. 게다가 최근 들어 글로벌 유동성 공급채널인 달러체제에 변화가 감지되는 가운데 AI분야가 성장엔진으로 부각됨에 따라 글로벌 차원의 포트폴리오가 재편되는 중이다. 당연히 위험관리차원의 비트코인 관련 투자는 매력적인 대안으로 인식될 수밖에 없다.
이미 비트코인은 소위 중앙은행 중심의 레거시 체제와 연관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대체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제 다수의 연기금도 금 대신 이제 ‘디지털 금’인 비트코인을 적극 고려하게 된 것이다. 특히 투자수단이 다양하지 못하고 외환관리가 엄격한 우리나라의 경우 지수연계상품 등의 거듭된 불완전판매 사태가 겹쳐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시장 전반의 과열상태가 연출되고 있다. 건전성과 위험관리가 강조되는 기관투자자들의 제한된 자산운용 선택폭은 역설적으로 일반 투자자들의 투기적 성향으로 구체화되고 있다. 게다가 글로벌 시세와의 격차가 지속되는 김치프레미엄은 거래소 주변환경과 외환관리의 틀 안에서 구조적 수급불균형을 키우고 있다. 결론적으로 최근 높아진 가격은 비트코인의 수급 불균형과 글로벌 포트폴리오 재편 과정, 그리고 인플레이션에 취약한 법정화폐 금융시스템에 대한 불확실성이 결합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비트코인은 소위 레거시 체제의 거듭된 금융위기를 배경으로 세상에 제시된 일견 극단적 대안이다. 특히 인플레이션 없이 가치의 전달 과정에서 기존 신뢰 주체들의 개입, 무거운 법적 기반과 규제체계 없이 화폐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인 점은 기존 사고의 틀을 바꾼 혁명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비트코인의 배경인 불간섭의 자율적 화폐시스템은 엄연히 법과 규제, 그리고 국가의 틀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과도한 변동성으로 이어졌고, 그래서 가치 저장 이상의 용도를 찾기 어렵다. 비트코인 이후 수많은 유사코인들이 등장했지만 좀처럼 확장성을 입증하지 못하고 있다. 소위 나름대로 화폐를 지향하는 수많은 대안들은 실생활에서 극히 제한적 수준의 기여에 머물고 있다.
최공필 디지털 금융센터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