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국상공회의소(암참)가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성장하는 비즈니스를 위한 인공지능(AI)’ 을 주제로 ‘2024 암참 AI 서밋’을 개최했다.
이번 AI 서밋은 챗GPT 열풍에 힘입어 업무 생산성 제고와 편의 증진 등 혁신을 이끈 산업계별 AI 도입 사례와 국내외 AI 생태계 현황을 살펴보고 AI 산업 육성에 대한 정부 정책과 산학계의 역할을 탐색해보고자 마련됐다.
제임스 김 암참 회장 겸 대표이사는 개회사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점점 더 많은 기업이 성장과 번영, 경쟁력 유지를 위해 생성형 AI 및 머신러닝 등의 테크놀로지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다”며 “이는 우리 산업계를 넘어 일상에 점점 더 깊이 침투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영향력이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는 지금이 바로 한국이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혁신 허브로 자리매김할 최적기”라며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선 지속 가능한 규제 환경 조성과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으로 수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최근 암참은 윤석열 대통령에게 ‘한국의 글로벌 기업 아태지역 거점 유치전략 보고서’를 작성해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보고서에선 한국이 글로벌 기업 유치에 어려움을 겪는 요인으로 △최고경영자(CEO)에 대한 형사책임 리스크 △디지털 규제 △낮은 노동 유연성 △높은 법인세 등을 꼽았다. 그러면서 한국이 ‘글로벌 스탠더드에 맞지 않는 규제를 정비하면 많은 글로벌 기업이 아태 본부를 한국으로 옮길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엄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축사에서 AI 산업 전반에 걸친 정부 기조와 정책 타임테이블을 소개했다.
그는 “정부는 올해를 AI시대의 원년으로 삼고, 생성형 AI 등 고도화된 AI 기술이 가져올 새로운 기회를 포착해 국가 도약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어 “세계 최고 수준 AI 기술력 확보와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해 AI·데이터 분야 국제 공동연구와 협력을 새롭게 착수하고, 일상·산업현장·공공행정 등 분야에서 AI 활용을 확산하기 위해 총 70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AI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은 AI 신뢰성과 윤리 확보 위에서 가능하다는 인식 하에 이를 균형적으로 달성할 AI법 제정도 지원할 계획”이라며 “특히 5월엔 서울에서 ‘AI 안전성 정상회의’를 개최해 글로벌 차원 규범 정립도 주도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밋 첫 세션으론 기조연설을 맡은 폴 버튼 IBM 아시아태평양 총괄사장이 “아시아 지역은 오래전부터 세계적으로 혁신의 중심에 있었다”며 “한국과 같은 역동적인 경제에서 한 단계 더 성장하고 번영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조직이 책임감 있는 AI 개발과 활용을 국가 의제와 정책의 중심에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각 조직의 리더들은 AI의 개발과 라이프사이클에 참여할 책임이 있고, 조직 전체에서 체계적이며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AI를 구현하는 것은 각 조직의 리더에게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인베스트서울 구본희 대표는 ‘‘한국판 헤이스밸리’ 서울의 AI 육성 방향’을 주제로 기업 친화적인 환경, 인프라 등 실질적인 혜택을 예로 들며 AI 산업 육성을 위한 서울시의 준비된 매력을 알렸다.
이어진 산업계 발표 세션의 첫 번째 연사로 나선 임은영 LG CNS 생성형 AI 사업단장은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아마존웹서비스(AWS)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파트너십 등 LG CNS의 생성형 AI 도입 사례를, 박선정 김앤장 법률사무소 외국변호사는 ‘AI, 비즈니스와 법을 만나다’, 문주윤 GR 코리아 운영 총괄은 ‘한국의 AI 정책 현황 및 전망’을 주제로 발표를 이어갔다.
크리스토퍼 패딜라 IBM 정부 및 규제 총괄 부사장은 ‘글로벌 AI 시대, 어떻게 규제해야 할까’ 를 주제로 “한국 정부가 성공적인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선 개발자와 사용자의 역할 차이를 정책에 반영해 그에 따른 의무를 부여하고, AI의 기술 자체보다 AI를 활용하는 상황에 따라 규제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발표 뒤엔 암참의 ICT 분과위원회 공동위원장을 맡은 법무법인 율촌 김선희 변호사를 좌장으로 패널 토론이 이어졌다.
남철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인공지능기반정책과장, 윌리엄 콥 주한미국대사관 경제부공사참사관, 바락 샤인 주한이스라엘대사관 공관차석, 임 단장, 홍기범 GR 코리아 자문위원, 김혜선 HP 정부·법무협력 이사가 패널로 참여해 기업들의 주도적 노력과 AI 인프라 구축, 정부의 산업 육성 패키지, 규제 완화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