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이 18개월 만에 반등 전환하고 거래가 늘면서 ‘집값 바닥론’이 슬슬 고개를 들고 있다. 일부 지역·가격대에 한정된 흐름이고 시장에 퍼져 있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發) 4월 위기설’이 여전한 상황이어서 아직은 ‘바닥 다지기’로 보는 게 맞는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무엇보다 주택 거래와 집값 변동을 막고 있는 가장 큰 원인인 기준금리 인하가 조만간 이뤄질 가능성이 없어 그전까지는 일정 수준 내 박스권 혼조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28일 발표한 3월 4주(25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01% 상승했다. 지난해 11월 4주 이후 하락세가 이어지던 흐름이 18주 만에 반전한 것이다. 서울 자치구 중 ‘노도강’(노원·도봉·강북구)과 ‘금관구’(금천·관악·구로구) 등 8곳을 제외한 모든 구에서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거나 보합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는 본격적인 상승 전환이라기보단 특례대출 상품 출시와 45주 연속 상승 중인 전세가격이 밀어 올린 효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지난 1월 말 연 1%대 초저금리의 신생아 특례대출이 시행됐다. 또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 상품 출시 이후 현재까지 주택구입자금 용도로 총 1만3000여건(약 3조5000억원)의 대출이 신청됐고, 이 가운데 신규 주택구입용 대출은 4100건(약 1조2600억원)으로 집계됐다. 2월 전체 주택 거래량 중 9.4%에 해당하는 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