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정찰위성과 기술적으로 큰 격차를 유지하고 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8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우리 군의 정찰위성 2호기 발사를 참관한 뒤 기자들에게 이같이 밝혔다. 이날 오전 신 장관은 국방부 대회의실에서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비롯한 주요 군 관계자들과 정찰위성 2호기를 실은 미국 민간 우주업체 스페이스X 팰컨9 로켓 발사 장면을 실시간으로 지켜봤다. 오전 8시17분 미국 플로리다주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발사된 로켓은 거대한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로 치솟았다. 이 장면을 숨죽이며 지켜보던 국방부 대회의실에서는 박수가 터져 나왔다.
이번에 발사한 2호기는 북한 내륙 지역을 정찰하고자 군 당국이 추진 중인 ‘425사업’의 일부다. 1호기는 전자광학·적외선(EO/IR) 위성, 2∼5호기는 영상레이더(SAR) 위성이다.
한반도는 흐린 날이 1년 중 70%에 달한다. 광학 장비로 촬영하면 표적을 지속적으로 관측하기가 쉽지 않다. SAR 위성은 이 같은 제약을 극복하도록 해 준다. SAR은 전파를 지상으로 쏜 뒤 지상에서 반사되어 되돌아온 전파를 수신, 신호 처리를 통해 영상을 얻는다. 날씨와 관계없이 지상 관측을 수행할 수 있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기술이다. 빛을 잘 반사하는 금속 표적을 구분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튼튼한 장갑과 금속으로 만들어진 레이더·미사일·전차 등의 군사 장비를 북한군이 위장막이나 수풀 등으로 가리면 광학위성은 관측이 어렵지만, SAR로는 식별이 가능하다.
425 위성체계에 속한 SAR 위성은 하루에 4∼6회 한반도를 방문한다. 작전 소요나 환경 변화에 따른 정밀 또는 광역 촬영이 가능하다. 30㎝ 수준의 초고해상도 촬영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활용해 보정을 하고 영상 판독 전문가가 분석하면 영상에 찍힌 차량 종류도 식별할 수 있다. 북한 미사일 발사차량(TEL)과 방사포, 김정은 국무위원장 전용차와 열차의 특성 및 움직임 등도 알 수 있다. 표적 식별 능력이 뛰어난 EO/IR 위성과 전천후 정찰 능력을 지닌 SAR 위성의 장점을 조합·운용하면 매우 선명한 위성 영상을 필요할 때마다 얻을 수 있다. 국방부가 “SAR 위성을 이번에 최초로 확보함에 따라 한국형 3축 체계의 기반이 되는 대북 감시 정찰 능력을 강화할 수 있게 됐다”고 평가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군은 3호기를 올해 11월쯤, 4·5호기는 내년에 발사해 425 위성체계를 전력화할 계획이다.
지난해 말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쏘아 올렸던 북한은 이르면 이달 안에 후속 발사를 시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 장관은 정찰위성 2호기 발사 직후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북한 정찰위성은 3월에 쏠 수 있을 것이라 봤는데, 추가 보완을 하는 것 같다”며 “기술적 보완이 큰 무리 없이 진행되면 이달 중순 발사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그는 “4월15일이 특별한 날(태양절)이니 쏘려고 하겠지만, 추가 보완을 하려면 4월 말까지 열어 놓고 생각하는 게 합리적”이라고 덧붙였다. 425 위성체계와 비교하면, 북한은 SAR 위성을 아직 보유하지 못했고 광학위성도 해상도 측면에서 뒤떨어져 있다는 평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