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크아웃(기업재무구조개선)이 진행 중인 태영건설[009410]에 100대 1 비율의 대주주 무상 감자, 1조원 규모의 자본 확충이 이뤄질 전망이다.
태영건설이 참여 중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60곳 중 10곳 안팎은 경·공매로 청산될 계획이다.
16일 금융권에 따르면 태영건설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날 오후 3시 채권단 18곳을 대상으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기업개선계획 초안에 대해 설명했다.
워크아웃 개시 이후 태영인더스트리 매각 자금 등을 통해 태영건설에 넣은 약 3천300억원에 대해서도 영구채 전환 등 자본확충 방법을 논의하기로 했다.
산은은 "대주주는 대여금 등 기존 채권의 100%, 금융채권자는 무담보채권의 50%를 출자전환함으로써 재무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주주는 보유 채권을 전액 자본확충에 투입함으로써 정상화의 책임을 다하고 금융채권자 등 이해관계자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주주가 대규모의 자본확충에 참여하는 만큼 태영건설에 대한 경영권은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기존 대주주의 지분은 41.8%(티와이홀딩스 27.8%, 윤석민 회장 10.0%, 윤세영 창업회장 1.0%, 윤석민 회장 부인 3.0% 등)에서 60% 안팎으로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워크아웃을 신청하면서 태영건설 주식에 대한 경영권 포기, 의결권 위임, 감자 및 주식처분 동의 등을 이미 약속한 만큼 워크아웃 기간 경영권 행사는 불가능하다.
태영건설이 참여 중인 PF 사업장 60곳(준공 완료 1곳 포함)에 대한 처리 방향도 이날 공개됐다.
본PF 사업장 40곳 중 상당수는 사업을 그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사업장 수곳은 시공사 교체를, 1곳은 청산을 결정했다.
금융권 관계자는 청산 건과 관련해 "분양률이 10% 미만인 데다가 건물도 짓지 않은 상황이라 대주단 입장에서는 수분양 계약금을 돌려주고 정리하기로 한 것"이라고 말했다.
브릿지론 단계의 PF 사업장 20곳 대부분은 시공사 교체 또는 청산이 이뤄진다.
시공사 교체와 청산 규모가 비슷한 수준으로 알려져 각각 10곳 정도로 추산된다.
단 1곳만이 사업을 그대로 이어가는 쪽으로 결정했다.
이번 태영건설 PF 사업장 처리 방향은 금융당국이 추진하는 전체 PF 사업장의 정상화 방향을 가늠할 수 있는 축소판으로 주목받아왔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