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소비자물가 석 달 만에 2%대로… 과일·채소값은 여전히 고공행진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개월 만에 3% 밑으로 떨어졌다. 하지만 사과와 배, 채소류 등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 물가는 고공행진을 이어가며 물가를 끌어올렸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4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3.99(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9% 올랐다. 

2일 서울시내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뉴시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 2~3월 두달 연속으로 3.1%를 기록하다, 석달 만에 2%대로 내려왔다.

 

상품별로 보면 농축수산물이 1년 전보다 10.6% 상승하며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축산물(0.3%), 수산물(0.4%)은 안정적 흐름을 보였지만 농산물이 20.3% 증가했다. 농산물은 전체 물가상승률을 0.76%포인트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외식을 비롯한 개인서비스 물가도 0.95%포인트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작용했다.

 

중동 리스크 속에 석유류 가격도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지만, 물가상승률 기여도는 0.05%포인트에 머물렀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중동 정세가 불안정했는데 석유류 가격이 생각보다는 많이 오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통계청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24년 4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하고 있다. 연합뉴스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 지수들은 2%대 초반까지 상승 폭이 둔화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지난해 같은 달보다 2.2% 오르면서 전달(2.4%)보다 0.2%포인트 상승률이 낮아졌다.

 

물가가 3% 밑으로 떨어졌지만, 생활물가지수는 3.5%로 높게 나타났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보다는 3.7% 하락했지만, 지난해 동월 대비로는 19.1% 오르면서 불안한 흐름을 이어갔다. 신선채소가 12.9% 올랐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사과(80.8%)와 배(102.9%)를 중심으로 신선과실은 38.7% 상승하면서 3월(40.9%)에 이어 40% 안팎의 오름세를 유지했다. 특히 배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1975년 1월 이후로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다만, 4∼6월은 사과, 배의 소비가 연 소비량의 5% 내외 수준으로, 소비자들이 즐겨찾는 품목이 아니라는게 정부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