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기초자치단체들이 급증하는 노인 인구에 대응하기 위해 잰걸음을 걷고 있다. 고령화로 노인 인구 비중이 늘면서 일자리 창출과 안전한 주거환경 마련 등 지속가능한 복지정책을 펼치는 데 무게를 뒀다.
7일 각 시·군에 따르면 해당 도시들은 노인복지 증진을 위한 지자체의 의지와 실천과제를 선언하기 위해 앞다퉈 지역별 사안을 담은 관련 조례 제정에 나섰다. 조례에는 노인 건강 실태 조사, 사회 문화활동 장려, 고용 촉진 및 소득 지원, 노인 일자리 전담기관의 설치 운영, 노인복지시설 확충 및 지원 등의 내용이 담겼다.
지자체들이 이처럼 분주하게 움직이는 건 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반작용으로 풀이된다. 유엔은 만 65세 이상 비율이 7% 이상이면 고령화사회, 14% 이상이면 고령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화사회로 분류하는데, 도내 31개 시·군 모두 2020년을 전후해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연천(31%), 가평(30%), 양평(29.4%), 여주(25.3%), 포천(24.3%), 동두천(24.1%), 안성(20.2%) 7개 시·군은 아예 초고령사회에 이름을 올렸다.
수원시는 노인이 건강하고 활력 있는 고령친화도시 건설을 목표로 한다. 또 지자체 정책 및 인프라 조성 등을 강조하며 노인복지·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일정 시기마다 의무적으로 수립하는 내용을 관련 조례에 담고 있다. 기본계획 수립과 이행 등을 심의할 노인복지정책위원회의 구성 등도 주요 내용 중 하나다.
성남시는 1년여의 준비기간을 거쳐 2021년 WHO의 고령친화도시 국제네트워크에 가입했다. 이를 위해 2019년 관련 조례를 제정한 뒤 노인실태조사와 연구용역 등을 마쳤다. 대학생, 직장인, 어르신 등 다양한 연령층으로 구성된 30여명의 고령친화도시 모니터링단도 운영했다.
도내 북부지역에선 올해 2월 포천시가 처음으로 WHO의 국제네트워크 인증을 받았고, 5월에는 구리시가 대열에 합류했다.
고령친화도시 인증을 추진 중인 이천시의 경우 인구의 15.5%(3만6189명)에 달하는 노인들을 위해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응급안전 안심 서비스를 마련하는 등 올해에만 1700억원대 예산을 편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