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한·미의 공중 및 해상정찰, 일부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에 대해 “국경 침범”으로 규정한다며 맞대응을 예고했다.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에서의 충돌 가능성, 대북전단에 대한 맞대응으로 대남전단 살포 등을 구체적으로 거론하고 나서면서 한반도 긴장 고조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르면 이번 주 북한이 두 번째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북한이 우리 정부를 향해 자위력 행사를 경고하고 나섬에 따라 북한의 도발 가능성이 주목된다.
김강일 북한 국방성 부상은 26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공개한 담화에서 “최근 미국과 한국괴뢰공군의 각종 공중정찰 수단이 적대적 공중정탐행위를 노골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며 한·미 정찰활동을 일일이 열거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한·중·일 정상회의를 앞둔 시점에 한반도 긴장 고조의 책임을 전가하려는 의도가 있다”면서도 “중국의 입장을 고려해서 3국 정상회의 기간에 실제 맞대응은 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NLL 충돌, 대남전단 등 군사적 충돌 우려와 함께,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 결의가 명백히 금지하고 있는 북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미 군 당국은 북한이 최근 평안북도 철산군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 2호기 발사 준비 정황을 포착했다. 예전에도 관람대를 만들거나 진입로를 정비하는 등의 움직임은 있었지만, 최근에는 그 빈도가 늘어나고 계측장비를 설치한 모습도 드러났다. 실제 발사를 위한 준비단계에 접어들었다는 분석이 나오는 대목이다.
군 안팎에선 북한이 4월에 두 번째 위성 발사를 감행할 것이란 관측이 많으나 최근 북한 동향을 보면 이제야 위성발사 준비에 들어간 모양새다. 북한이 기술적 실패 위험을 낮추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북한이 지난달 서해위성발사장 수직엔진시험 시설에서 대형 액체 추진 로켓 엔진을 시험했다고 밝혔다. 위성 발사가 이뤄질 것이라 예상됐던 시기에 엔진시험을 했다는 것은 북한이 그만큼 꼼꼼하게 위성 발사를 준비하고 있다는 의미다. 만리경-1호 발사를 통해 식별됐던 문제점을 개선, 적용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