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2018~2022년 가계 소득분위 간 소득·소비 점유율 격차 줄어”

2018~2022년 가계 소득분위 상·하위 간 소득 점유율 격차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전 세계 대유행) 기간 동안 정부의 지원금이 늘면서 저소득 가계의 소득이 늘어난 덕분이다. 이 기간 고소득 가계는 오락, 스포츠 등 비필수재 소비를 줄였다.

 

한국은행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가계분배계정’ 통계를 지난 5일 발표했다.

사진=연합뉴스

가계분배계정 통계에 따르면 2018∼2022년 국민총소득(총본원소득·GNI)의 가계 소득 분위별 점유율 추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다만 코로나19 기간인 2020년 이후 소득 하위 60%인 1~3분위의 점유율은 대체로 상승했고, 나머지 4~5분위는 하락했다. GNI는 가계가 생산에 참여하거나 생산에 필요한 자산을 소유함으로써 얻은 소득이다.

 

분위별로 점유율을 살펴보면 먼저 하위 20%인 1분위는 2020년 5.5%, 2021년 5.6%, 2022년 6.8% 등으로 상승했고, 2분위(소득 하위 20∼40%)는 같은 기간 10.3%, 10.8%, 11.7% 등으로, 3분위(〃 〃 40∼60%)는 15.5%, 15.5%, 16.0% 등으로 높아졌다. 반대로 상위 20∼40%인 4분위는 23.6%, 23.0%, 22.7% 등으로, 상위 20%인 5분위는 45.0%, 45.1%, 42.8% 등으로 각각이 하락했다.

 

가계 구매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소득 지표인 총처분가능소득의 소득분위별 점유율도 마찬가지였다.

 

1분위는 2018년 6.6%, 2019년 6.5%, 2020년 7.2%, 2021년 7.3%, 2022년 7.6% 등으로 올랐지만 같은 기간 5분위는 40.7%, 40.3%, 38.9%, 38.9%, 38.0% 등으로 떨어졌다.

사진=연합뉴스

한은 관계자는 “2018년 소득 1~2분위 가계는 정부로부터 기초연금 등 사회 수혜금을 받으면서 총처분가능소득 점유율이 상승했다”며 “5분위는 소득세 등 경상세 납부 등으로 하락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는 가구 단위 합산 결과로 개인 간 후생 비교나 불평등 지표로 활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가계 분위별 소득·소비·저축 통계인 가계분배계정 자료가 발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따라 실험적으로 이번 통계를 작성했으며 해마다 작성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