뚱뚱하면 더위 더 많이 탄다? 사실입니다 [건강+]

두꺼운 지방층이 열 발산 막아

더위에 갑상선 기능 저하도 조심해야
다한증 환자, 심뇌혈관 질환 위험 높아

낮기온이 30도를 웃도는 무더위가 계속되는 가운데 유난히 더위를 힘들어 하는 사람들이 있다. 눈에 띄게 땀을 많이 흘리거나, 더위를 참기 힘들어 하는 경우라면 질병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는 만큼 확인을 해보는 것이 좋다.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비만하면 더 덥다? (O)

 

비만인 경우라면 다른 사람에 비해 더 많이 더위를 탈 수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가정의학과 강서영 교수는 “비만 환자는 두꺼운 지방층으로 인해 열 발산이 정상 체중인 사람들에 비해 원활하지 않아 더위를 더 잘 느낄 수 있다”며 “체중 감량을 하는 것이 만성질환을 예방하는 것뿐만 아니라 더위를 해소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조언했다.

 

비만은 체지방의 과잉 축적으로 인한 만성질환 상태를 의미한다. 비만 환자는 정상 체중인 사람과 비교해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등의 만성질환 위험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심뇌혈관질환의 위험과 사망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 과도한 체중으로 인해 여러 부위의 관절염, 수면무호흡증이 발생하기도 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40대 후반 이상 갱년기도 영향  

 

여성들이 폐경기에 접어들면서 얼굴 쪽에 열이 쉽게 올라오고 더위를 심하게 느낀다면 폐경기의 혈관성 증상이라 할 수 있다.

 

열성 홍조는 가장 흔하고 대표적인 폐경기 증상이며 얼굴과 목, 가슴 상부로부터 열감과 붉은 홍조가 올라오고 맥박 증가와 땀이 나며 심계항진(심장이 뛰는 것이 느껴져 불쾌한 기분이 드는 증상)이나 현기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주로 이른 저녁 시간에 많이 발생하며 불안, 흥분, 더운 날씨, 맵거나 뜨거운 음식의 섭취, 스트레스 상황에서 자주 나타난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산부인과 김주영 교수는 “폐경기에 나타나는 증상들은 폐경으로 인한 에스트로겐 감소가 뇌 시상하부의 체온조절중추에 영향을 끼치는 것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며 “폐경기 증상이 심해지고 갈수록 더위에 민감해진다면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의 도움을 받을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갑상선 이상도 확인해야

 

갑상선에 이상이 생겨도 더위에 약하다. 갑상선은 목 중앙에 나비 모양으로 위치했는데 갑상선호르몬을 배출해 에너지를 생성하는 촉진제 역할을 하는데 기능이 떨어지면 호르몬의 분비량이 증가하면서 대사가 빨라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열이 많아지고 더위를 많이 타게 되며 땀 배출량도 늘어날 수 있다.

 

갑상선 기능이 떨어지면 심박수가 빨라지고 혈압에 이상이 생기거나 숨이 차고 신경질을 자주 내면서 불면증도 생길 수 있다. 식욕이 증가해도 체중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고, 설사나 변비 같은 소화기 증상도 보인다. 증상이 심하면 안구돌출, 안구건조증, 충혈이 나타날 수 있고, 갑상선 부위가 커지는 증상이 생기기도 한다. 여성의 경우 월경의 양이 줄거나 없어질 수 있고, 남성의 경우 아주 드물지만 여성형 유방이 생길 수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나충실 교수는 “여름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체온조절을 위해 땀을 많이 흘리게 된다”며 “그러나 유난히 땀이 많이 나고 단기간에 몸무게가 줄어든다면 갑상선기능 검사를 받아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다한증 환자, 심뇌혈관 질환 위험 높아

 

우리 몸에는 ‘에크린’과 ‘아포크린’이라는 두 가지 땀샘이 있다. 먼저 전신에 분포하는 에크린샘은 99%가 수분으로 이뤄져 있다. 끈적임이 없고 냄새도 거의 없어 맑고 투명한 땀을 배출하는 게 특징이다. 땀이 많이 나는 질환으로 알려진 다한증이 바로 에크린샘의 과도한 분비로 발생한다. 

 

다한증 환자는 전체 인구의 5% 수준으로 알려졌지만, 병원을 찾는 환자 수는 10명 중 1명도 채 되지 않는다. 생활은 불편해도 ‘질환’으로 크게 인식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난해 강남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이성수·문덕환 교수, 가정의학과 이지원·박재민 교수 연구팀이 5만5000여명을 7.7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 다한증이 있으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뇌졸중, 허혈성심장질환, 기타 심장질환 발생 위험이 각각 1.24배, 1.16배, 1.22배로 나왔다. 이중 다한증을 치료하는 교감신경 절제술을 받은 경우에는 뇌졸중 위험도가 1.36배에서 0.44배로, 허혈성심장질환 위험도는 1.24배에서 0.62배로, 복합심장질환 위험도는 1.31배에서 0.56배로 낮아졌다. 

 

연구팀은 “교감신경 항진이 심뇌혈관질환 위험을 높이는데, 다한증 환자에서 교감신경 항진과 자율신경계 이상이 있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교감신경 절제술로 교감신경 항진을 조절하면 다한증뿐만 아니라 심뇌혈관질환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