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이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니가타현 사도광산에 일제강점기 한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노동자들이 일했던 사실을 알리는 시설이 세워질 것으로 보인다.
26일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한·일 정부가 이같은 내용으로 큰 틀의 합의를 이뤘고, 일본 정부는 등재 여부를 결정하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노동자의 존재를 표명할 방침이다. 세계유산위원회는 21일부터 인도에서 열리고 있고 사도광산의 등재 여부는 이번 주말 결정된다.
일본은 사도광산의 가치를 “세계 광산에서 기계화가 진행되는 16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전통적인 수공업으로 세계 최대급, 최고 품질 금 생산을 실현했다”고 강조하며 대상 시기를 에도시대인 16∼19세기 중반으로 한정했다. 이는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를 외면한다는 비판을 받았지만, 일본은 ‘전통적 금 생산 기술과 체제’가 핵심 가치라는 논리를 고수했다. 한국 정부는 이를 문제삼으며 등재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 왔다. 지난달 세계유산 등재여부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유네스코 자문기구 이코모스(ICOMOS)가 사도광산 등재에 대해 ‘보류’를 권고한 것은 전체 역사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지적에 힘을 싣는 것이었다. 아사히는 “6월 권고 이후 일·한 정부는 각각 자국 여론을 고려하며 수면 아래서 협의를 본격화했다”며 “지난해 윤석열정권 출범 후 양국 관계가 개선되어가는 상황에서 일본 정부가 한국 측의 요구에 일정 정도 양보하는 방침을 정했다”고 전했다. 이어 “한반도 출신 노동자의 존재를 현지에서 전시회를 통해 소개하는 것과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런 방침을 밝히기로 결정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노동의 강제성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를 두고는 여전히 의견차 있어 협의가 계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은 2015년 하시마섬(일명 군함도)를 포함한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을 등재하면서 강제노동에 대한 설명을 하겠다고 약속했으나 지키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