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F구조조정 여파… 5대금융 부실지표 5년 만에 ‘최악’

2분기 부실채권 규모 12조4000억 육박
총여신 대비 비율 0.62%… 2019년 이후 최고
신한 2700억·KB 800억 추가 충당금 적립

고금리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여파로 주요 은행의 대출 부실 위험이 5년 만에 최고치로 치솟았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올해 2분기 기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NPL)은 약 12조3930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여신 대비 비율은 0.62%로, 2019년 1분기(0.63%) 이후 가장 높았다.

서울시내에 위치한 시중은행 ATM기 모습. 뉴시스

지주사별로 KB금융과 신한금융 모두 0.68%로, 각각 2018년 1분기(0.70%), 2017년 2분기(0.72%)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뒤이어 농협금융이 0.59%로 역시 2020년 1분기(0.60%)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하나금융과 우리금융은 모두 0.56%로, 각각 2019년 2분기(0.56%), 2019년 1분기 지주사 출범 후 최고치였다.



2분기 고정이하여신이 늘어난 것은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른 재평가, 책임준공형 관리형(책준형) 사업장 재분류 등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당국은 지난 5월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4단계(양호·보통·유의·부실 우려)로 세분화한 뒤 금융사들에 엄격해진 기준에 따라 사업장을 재평가하도록 주문했었다.

박장근 우리금융 최고리스크담당자(CRO)는 최근 2분기 실적 관련 콘퍼런스콜에서 “부동산 PF 사업성 평가와 관련해 1800억원 정도가 재분류됐고, 책준형 사업장도 440억원 정도가 NPL 쪽으로 분류됐다”고 말했다.

5대 금융지주는 부동산 PF와 관련해 2분기에 추가 충당금도 적립했다. 신한금융 2714억원, KB금융 800억원, 우리금융 800억원, 하나금융 408억원 등이다.

금융지주 CRO들은 부동산 PF 위험을 잘 관리하고 있다면서도 PF 시장에 대한 경계감을 늦추지 않았다.

최철수 KB금융 CRO는 “KB는 선순위 사업장이 95% 이상이고, 대부분 수도권이라 PF 퀄리티가 우수한 편이지만, PF 시장이 낙관적으로 돌아섰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며 “금리 인하 속도, 부동산 시장 상황, 정부의 PF 구조조정, 정상 사업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 등이 선결 과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