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는 ‘불티’·지방 미분양은 ‘적체’… 온도차 심하다

국토부, 6월 통계 발표… 양극화 뚜렷

지방 미분양 5만8986가구… 전체의 80%
수도권 외곽 늘어… 강원·대전도 30% 증가
‘악성 미분양’ 1만5000여건… 11개월째↑

서울 거래량은 48% 급증… 값도 상승기조
정부, 지방 세제 혜택 마련… ‘약발’ 미지수
상반기 주택 인허가 물량 전년비 26% 감소

올해 들어 서울 아파트 매매·분양시장 열기가 되살아나고 있는 것과 달리 지방 분양시장에선 여전히 냉기가 감돌고 있다. 경기 미분양주택 규모가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고, 정부가 지방 미분양 물량 적체 해소를 위해 세제 혜택 카드를 꺼내 들었지만 시장에선 수요자들의 냉담한 반응이 한동안 이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모습. 연합뉴스

국토교통부가 31일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6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주택은 7만4037가구로 전월보다 2.6%(1908가구) 늘었다. 7개월 연속 증가세다.

전체 미분양주택 가운데 지방 물량이 5만8986가구로, 전체의 79.7%에 달한다. 이에 반해 수도권 미분양 물량은 1만5051가구로 20.3% 수준이다.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는 속도도 지방이 더 빠르다. 지방에서 미분양 물량이 한 달 새 2.8%(1618가구) 늘어날 때 수도권에선 2.0%(290가구) 증가했다.

 

수도권에서도 경기 평택·안성 등 외곽지역 위주로 미분양 물량이 늘어나는 모습이다. 6월 서울과 인천 미분양은 전월 대비 각각 15가구, 775가구 줄었으나 경기 미분양은 1080가구 급증했다. 이에 따라 6월 말 기준 경기 미분양 물량은 9956가구로 대구(9738가구)를 제치고, 전국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은 지역이 됐다. 이는 2017년 6월(1만1229가구) 이후 7년 만에 최대치다.

강원과 대전 등도 미분양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강원 미분양은 4740가구로 전월보다 30.3%(1101가구), 대전은 3299가구로 30.0%(761가구) 늘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주택은 6월 1만4856가구로, 전월보다 12.3%(1626가구) 증가했다. 11개월 연속 증가세다.

악성 미분양이 많이 쌓인 곳은 경남(1771가구), 경기(1767가구), 대구(1635가구), 전남(1627가구) 등이다. 울산의 경우 악성 미분양이 한 달 새 206가구에서 728가구로 3.5배 늘기도 했다.

서울과 지방의 온도차는 아파트 매매시장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한국부동산원의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전국 기준 아파트값이 0.65% 하락하고, 지방이 0.98% 떨어지는 동안 서울 아파트값은 0.55% 올랐다.

아파트 거래량을 보더라도 6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4만3300건·신고일 기준)이 전년 동월 대비 9.3% 늘어날 때 서울 아파트 거래(6150건)는 48.7% 급증했다.

서울의 한 부동산에 게시된 관련 정보. 연합뉴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서울은 새 아파트 선호 및 가격 상승 등이 맞물리며 분양 단지에 대한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며 “지방은 공급 부담이 나타나고 있는 가운데 재고 시장 역시 고전하며 지방과 수도권은 양극화를 보이고 있고, 이 같은 양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2024년 세법 개정안’에 지방 준공 후 미분양주택 취득 시 세제 혜택 내용을 담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지만, 시장의 기대는 크지 않은 분위기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정부가 세제 혜택을 주기로 했지만 시장의 움직임이 수도권 위주로 집중되면서 미분양이 소진되는 데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며 “미분양은 계속 늘어나는 경향성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올해 상반기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14만9860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6.1% 감소했다. 1∼6월 누계 착공은 12만7249가구로 30.4%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