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에 사람이 거주하지 않는 빈집이 늘고 있어 지자체 차원의 활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8일 한국부동산원 빈집 정보시스템 등에 따르면 2021년 기준 대구지역 빈집 수는 4137호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주택 수인 83만4000호의 0.5%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동구가 698호로 가장 많았고, 수성구 554호, 달성군 534호, 북구 505호, 서구 444호, 남구 384호, 달서구 243호, 중구 184호가 뒤를 이었다. 지난해 대구로 편입한 군위군의 2021년 기준 빈집 수는 591호다.
주택유형별로 단독주택이 3350호로 전체 빈집의 81%를 차지했고, 아파트·연립·다세대 등 공동주택은 361호로 8.7%, 그 외 주택(무허가)은 426호로 10.3%로 나타났다.
등급별로 1등급 748호, 2등급 1686호, 3등급 1030호였고, 철거대상인 4등급은 673호로 집계됐다. 40년 이상 된 빈집은 전체의 78%인 3240호로 확인됐다.
빈집 증가는 고령화가 불러오는 인구 감소가 주요 원인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철거하는 데 비용이 들고, 재개발∙재건축 기대감 등으로 빈집이 방치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빈집은 각종 문제 발생 요인이 있지만 사유재산이어서 행정기관에서 강제로 철거하기 힘들다. 또 빈집 정비사업에 대한 국비 지원 수준이 낮고 예산 집행도 지자체의 빈집 정비 계획과 상관없이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구시는 2013년부터 4년간 빈집 170동을 철거해 주차장 83곳, 쌈지공원 19곳, 텃밭 36곳, 꽃밭 28곳, 운동시설 4곳으로 탈바꿈시켰다. 이후에도 9억원의 예산을 확보해 빈집을 활용한 주민편의시설을 조성했다.
도심 빈집이 증가하자 이만규 대구시의회 의장은 지난해 12월 시·도의회의장협의회에서 ‘빈집 정비를 위한 국비지원’을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이 의장은 “이제라도 빈집 소유자나 정비주체인 지자체를 위해 다양한 제도나 재정 지원 수단을 강구하는 데 중앙정부와 국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