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Z세대 이탈에 늙어가는 공직사회… 30대 공무원 현원 줄어

10년간 는 50세 이상 1.5만명
20대·30대 증가, 5900명 불과

공직사회의 고령화가 심화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MZ세대(1980년대∼2000년대 초 출생자)로 불리는 청년 공무원들의 공직 이탈 러시가 이어진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15일 인사혁신처가 더불어민주당 양부남 의원실에 제출한 ‘최근 10년간 행정부 소속 일반직 국가공무원의 연령대별 현원’을 살펴보면 50세 이상 국가공무원은 2014년 3만5385명에서 지난해 5만438명으로 10년 동안 약 42.5%(1만5053명)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가공무원 전체 현원은 14.3%(2만1983명) 늘었는데, 이를 큰 폭으로 웃도는 수준이다.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공무원들이 출근하는 모습. 연합뉴스

반면, 20대와 30대 일반직 국가공무원은 2014년 5만6423명에서 2023년 6만2366명으로 약 10.5%(5943명) 증가하는 데 그쳤다. 10년간 는 국가공무원(2만1983명) 중 20대·30대(5943명)의 비중은 27%에 불과하지만, 50세 이상(1만5053명)은 6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대 국가공무원은 2014년 4만9616명에서 2023년 4만6175명으로, 10년 새 6.9%(3441명) 감소했다. 같은 기간 현원이 줄어든 연령대는 30대가 유일하다. 10년 전만 해도 30대 국가공무원이 전체 현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2.4%(4만9616명)로, 40대(40.1%·6만1431명) 다음으로 많았다.

 

2019년까지만 해도 전체 현원 중 30대 비율은 27.5%로 50세 이상(25.7%)보다 높았지만, 2020년에는 30대 26.4%, 50세 이상 26.8%로 추세가 역전됐다. 2021년에도 30대는 26%, 50세 이상은 27.3%, 2022년에도 30대는 25.9%, 50세 이상은 27.9%로 50세 이상 비중이 30대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저연차 공무원들의 이탈은 2019년 6663명에서 지난해 1만3321명으로 5년간 배 이상 늘었다. 양 의원은 “낮은 연봉과 박한 처우, 강한 업무 강도, ‘보상은 적고 일은 힘들다’는 인식 등이 저연차 공무원들이 공직을 떠나게 하는 요인으로 꼽힌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