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심각성 잊기 쉬워… 위기를 기회로 살리자”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

“적극적 대응 필요” 한목소리

극단적 기상 이변 신문에 기사 나와도
대부분은 ‘내 이야기 아니다’하고 넘겨
과학자들 이미 30∼40년 전부터 경고

위기대응 어느 한 국가만 할수는 없어
글로벌 리더들 다양한 의견 수렴하고
새로운 흐름 받아들여 경쟁력 갖춰야

韓 에너지전환 정책 여전히 부족 지적
과감한 규제 개선 등 변혁적 조치 필요
기업들 기후재무공시 등 관심 바람직

“올해 여름은 우리 여생의 가장 시원한 여름이 될 것.”

 

2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RX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김완섭 환경부 장관(왼쪽 사진부터), 안호영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위원장, 정희택 세계일보 사장이 축사와 인사말을 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지난해 미국항공우주국(NASA·나사) 소속의 한 과학자가 했던 말이다. ‘지구 온난화’라는 말은 이미 수십년 전부터 제시됐고, 인류의 삶을 위협할 것이라는 경고가 쏟아졌지만, 그간 이를 막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충분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읽힌다.

 

27일 서울 영등포구 KRX 한국거래소 컨퍼런스홀에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는 ‘기후위기 시대, 공생의 길을 찾다’를 주제로 기후위기 시대를 헤쳐가기 위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포럼 참석자들은 기후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들을 더는 미뤄서는 안 되며, 지금까지 했던 것 이상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후 위기, 기회로 살려야”

 

문길주 홍릉포럼 이사장(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은 “매년 스위스에서 열리는 다보스 포럼에서 언급되는 세계적인 이슈는 극단적 기상 이변이었지만, 우리는 신문에 기사가 나와도 대부분은 ‘내 얘기가 아니다’라고 넘겼고, 펄펄 끓었던 2018년 극심했던 폭염을 기억하는 사람은 여기에 아무도 없다”고 운을 뗐다. 이어 “이미 과학자들은 30∼40년 전에 기후위기에 대해 경고했지만 아무도 귀담아듣지 않았다”고도 했다.

 

문길주 홍릉포럼 이사장(전 KIST 총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이제는 함께할 때'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문 이사장은 “이러한 폭염이나 극심한 가뭄, 극한 호우가 매년 오고, 매일 오는게 아니기 때문에 대부분 이렇게 기후위기가 심각하다는 사실을 잊어버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프레젠테이션에서 지구 온난화로 사막으로 바뀐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케이프타운과 바다 수온 상승으로 세계 최대 산호초 군락인 호주의 그레이트 배리어 리프의 백화 현상이 일어난 사진을 소개하기도 했다.

 

기조강연하는 문길주 이사장 문길주 홍릉포럼 이사장(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장)이 2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이제는 함께할 때’를 제목으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문길주 홍릉포럼 이사장(전 KIST 총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이제는 함께할 때'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문 이사장은 “이게 현실인데도 우리는 얼마만큼 이거에 대해 준비하고 있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글로벌 리더들과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새로운 흐름을 받아들여 위기를 기회로 살려야 한다”고 제언했다.

 

열띤 토론 2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KRX한국거래소에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참석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임대웅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 한국대표(왼쪽부터), 오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교수,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실장, 박훈 고려대학교 연구교수, 문길주 홍릉포럼 이사장, 강상구 전남도 에너지산업국장, 이선미 UNGC 한국협회 팀장, 이우균 고려대학교 교수. 이재문 기자

◆“정부 에너지전환 정책, 국제 흐름에 못 미쳐”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서는 화석연료 사용을 줄이는 대신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 정책은 아직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날 패널로 참석한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연구실장이 소개한 전문가와 산업계 관계자 100인에 대한 경기연구원의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8%가 우리나라의 에너지전환 정책이 국제적인 흐름에 뒤처져 있거나 거꾸로 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실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고재경 경기연구원 기후환경실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고 실장은 “정부의 재생에너지 목표 하향 조정이나 ‘RE100’(재생에너지 전력 100%)과 ‘CF100’(무탄소 100%) 간의 대립구도 및 정쟁화가 정책 시그널의 혼선을 불러, 기업 입장에서는 대응 시간이 충분한 것처럼 착시현상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안이한 대응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정부에 따라 에너지정책이 바뀌는 정책의 신뢰성, 일관성 문제 등도 지적했다. 그러면서 “전력망과 탄소중립 인프라에 대한 과감한 투자, 각종 규제 개선과 인센티브, 일관된 정책신호 제공 등 변혁적인 조치를 통해 시장의 전환을 가속화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우균 고려대학교 교수가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글로벌 기후재난 대응과 한반도의 기회'를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27일 서울 여의도 KRX 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이우균 고려대학교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이우균 고려대 환경생태공학과 교수는 효과적인 탄소중립을 달성하는 방안으로 ‘기후스마트 토지관리’를 제시했다. 기후스마트 토지관리는 토지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감축하고 흡수량은 늘려 순흡수량을 최대화하는 방식이다. 이 교수는 “쉽게 말해 농업·임업·축산업 등을 모두 같이 하는 것”이라며 “이미 핀란드 등 해외 많은 나라에서 기후스마트 토지관리를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우리나라는 필지를 평 단위로 나누고 그 안에서 농업·임업·축산을 (따로) 하는 구조라서 기후스마트 토지관리를 하기가 어렵다”면서 “산림과 농지 관리를 인허가하는 기초 지자체가 관심을 갖고 유역 단위 혹은 마을 단위로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교수가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기업들, 기후위기에 더 노력 기울여야”

 

기업들이 기후위기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쏟아져나왔다.

 

오수길 고려사이버대학교 교수는 “기후위기에 따른 피해의 경중이 있겠으나 누구도 비켜갈 수는 없다는 점에서 기업들은 그간의 일반적인 사회공헌 활동 정도의 대응을 넘어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수출에 주로 의존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은 신기후체제나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세 등에 대비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기업 자체의 생존과 관련해 중요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대기업에 비해 중소기업은 기후위기에 대한 대응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대응이 일부 대기업집단의 노력에 한정돼서는 안 된다”면서 “정부·지자체·공공기관 등도 이러한 기업들이 ESG 경영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과 기반체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야한다”고 제언했다.

 

이선미 UNGC 한국협회 팀장이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미래세대를 위한 기업의 ESG 대응'을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27일 서울 여의도 KRX 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이선미 UNGC 한국협회 팀장이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이재문 기자

재생에너지 조달 등을 위한 정부의 역할이 확대돼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이선미 UNGC 한국협회 팀장은 ‘미래세대를 위한 기업의 ESG 대응’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재생에너지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이 가장 많은 국가는 한국이었다”면서 “기업들이 꼽은 재생에너지 조달 장벽으로는 높은 비용과 제한적인 공급, 전력 그리드의 유연성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이 통과되면서 이러한 부분이 조금 더 개선되겠지만 정부가 해줘야 할 역할이 분명하게 있다”고 강조했다.

 

임대웅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 한국대표가 27일 서울 여의도 KRX한국거래소에서 세계일보 주최로 열린 2024 세계기후환경포럼에서 토론을 하고 있다. 최상수 기자

기업이 기후리스크와 기후재무공시 등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임대웅 유엔환경계획 금융이니셔티브(UNEP FI) 한국대표는 “기후 대응을 하지 않는 기업에 투자를 하지 않겠다는 금융기관이 늘고 있다”고 말했다. 임 대표는 올해 정부가 2030년까지 420조원의 녹색금융 자금을 공급하기로 한 것을 소개하며 “기업들이 행정부담 등을 이유로 공시 시점을 미루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해야만 하는 일이며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 “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 한다”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