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도권 경쟁?…제4테크노밸리 ‘단독’ 발표한 성남시 [오상도의 경기유랑]

2025년 10월까지 발전구상 용역…첨단 산업·기술 거점화
신상진 시장 “제4테크노밸리 추진…미래 결정 프로젝트”
1월 판교에선 경기도 주도 제3테크노밸리 청사진 공개
김동연 지사 “제1·2테크노밸리 성공신화 이어갈 것” 포부
신 시장 불참…두 단체장 올해 공식 석상 만남 ‘0’, 성향 달라

경기 성남시가 분당 오리역 일대에 첨단 산업과 기술이 결합한 ‘제4테크노밸리’를 조성한다는 계획을 단독으로 내놓으면서 안팎의 이목을 끌고 있다. 

 

성남시는 경기도가 경기주택도시공사(GH)를 통해 시행한 판교 제1테크노밸리가 안착한 뒤 제2테크노밸리 조성 때부터 뒤늦게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시행사로 참여한 바 있다. 그동안 행정지원과 인허가 등을 담당해 관련 사업을 주도한 경험은 없다.

 

이번 발표는 부지 조성 중인 제3테크노밸리 입주 희망기업을 대상으로 GH가 수요 파악에 나선 가운데 나온 것이다. 시가 내세운 근거 법률은 분당 재개발을 위한 ‘노후계획도시정비법’으로 택지개발촉진법, 산업단지법, 공공주택특별법에 따라 추진돼온 앞선 사업들과 차이가 난다.

신상진 성남시장이 11일 시청에서 오리역세권 제4테크노밸리 개발사업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성남시 제공

◆ 오리역세권 고밀복합개발 추진…첨단 클러스터 등 유치

 

12일 경기도와 성남시에 따르면 신상진 시장은 전날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오리역세권 제4테크노밸리 개발사업’의 추진계획을 공개했다.

 

대상지는 시 소유 성남농수산물종합유통센터(8만4000여㎡)와 옛 하수종말처리장(2만9000여㎡), LH 오리사옥(3만7000여㎡), 법무부 소유 법원 부지(3만여㎡), 민간 버스 차고지(4만여㎡) 등이다.

 

성남시는 이곳에 첨단 기술 연구소, 스타트업 지원센터, 첨단 산업 클러스터 등을 입주시킨다는 계획이다. 신 시장은 “판교와의 연계성을 높여 정보기술(IT)과 첨단 기술 산업의 중심지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시는 변두리였던 오리역세권이 용인시의 폭발적 성장에 따라 개발 필요성이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내년 1월 관련 용역을 추진하고 개발계획을 수립한 뒤 국토교통부,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과 협력해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판교 제1테크노밸리 전경. 성남시 제공

이번 계획은 판교와 연계성을 극대화해 오리역 일원을 고밀복합개발하는 데 무게를 뒀다. 

 

하지만 판교 제3테크노밸리가 부지 조성 이후 이제 막 분양을 시작했고, 수도권 지식산업센터가 포화상태인 가운데 시가 홀로 서둘러 계획을 발표한 건 의외라는 반응이다.

 

성남시와 경기도의 테크노밸리를 둘러싼 주도권 경쟁의 성격이 강하다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일각에선 올해 1월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주도한 제3판교테크노밸리 추진계획 발표회장에 신 시장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사실이 회자된다. 더불어민주당(김 지사)과 국민의힘(신 시장)으로 소속 정당이 다른 두 단체장은 마치 내외하듯 공식 석상에서 얼굴을 마주하지 않고 있다. 올해 들어서는 단 한 차례도 함께 서지 않았다.

 

경제부총리 출신의 김 지사와 4선 국회의원 출신 신 시장의 성격과 성향이 다르다는 점도 배경으로 거론된다. 실제로 도내 국민의힘 소속 시·군 단체장들 다수는 김 지사와 소원한 관계를 이어가고 있다.

김동연 경기도지사(앞줄 왼쪽 세 번째)가 지난 1월31일 성남 판교글로벌비즈센터에서 제3판교 테크노밸리의 추진계획을 발표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기도 제공

◆ 제1테크노밸리 道 단독 시행…제2테크노밸리부터 市 참여

 

2005년 시작한 판교 제1테크노밸리 사업(66만㎡·1조4000억원)은 경기도 단독으로 시행해 GH가 위탁 개발했다. 이후 2015년 판교 제2테크노밸리(40만㎡·7600억원), 2018년 판교 제3테크노밸리(50만㎡·1조4000억원) 조성에는 LH와 GH, 성남시가 공동 시행자로 이름을 올렸다.

 

현재 제1·2테크노밸리에는 KT·카카오·NHN·넥슨·엔씨소프트·우아한형제들·인터파크 등 3000개 넘는 기업(11만1000여명)이 입주해 있다. 이 중 1622개사(7만8000여명)는 제1테크노밸리에 둥지를 틀었다. 이곳은 제2테크노밸리의 4배가량인 약 168조원(2022년 기준)의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처럼 테크노밸리 건설이 거듭될수록 규모와 매출이 줄어드는 상황을 두고 신규 사업 진출에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 역시 작지 않다. 사업성을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는 얘기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성남도시개발공사가 사업을 주도할 능력을 갖췄는지를 따지지 않더라도 경기도, LH 등과 협의를 마치지 않고 내놓은 성남시의 계획은 아직 선언적 의미에 그친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