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발진 의심사고 대부분 조작 실수” [경제 레이더]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가 잇따르는 가운데 이러한 사고의 대부분은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 실수로 나타났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시됐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는 12일 서울 여의도 FKI 콘퍼런스센터에서 ‘자동차 급발진 의심 사고 설명회’를 공동 개최했다.

강남훈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회장이 12일 서울 여의도 FKI컨퍼런스센터에서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가 개최한 '자동차 급발진 의심사고 관련 설명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급발진은 운전자가 의도하지 않는 급격한 가속을 뜻한다. 해외에서는 현상 그대로 ‘의도하지 않은 급가속’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



이날 사고 조사 참여 등 현장 경험을 가진 전문가들이 참석해 브레이크를 제대로 밟았을 경우 급발진이 생겼더라도 멈출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호근 대덕대 미래자동차학과 교수는 “자동차의 제동력은 차량 중량 및 속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보다 더 크게 설계돼 있다”며 “제동 신호와 가속 신호를 동시에 보내더라도 브레이크를 밟을 경우 자동차는 무조건 속도가 감소 및 정차한다”고 강조했다.

박성지 대전보건대 과학수사과 교수도 “사고기록장치(EDR) 데이터에서 가속 페달을 밟았는지 제동 페달을 밟았는지 확인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페달 오조작이라고 말 못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문제”라고 말했다.

전기차와 자율주행차 등 전기장치가 많이 들어간 차들이 속속 등장하며 운전자의 오조작 가능성도 더 커졌다는 분석도 나왔다.

최영석 원주한라대 미래모빌리티공학과 교수는 “회생제동 풀림으로 인한 운전자 조작 실수 등이 급증하고 있다”며 “오조작 방지 장치 기술 개발 혹은 운전자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민제 경찰대학 치안정책연구소 연구관은 “전기차, 자율주행차가 보급되며 사고 원인별 책임소재가 다양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차원에서도 운전자의 페달 오조작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확대할 계획이다.

강남훈 KAMA 회장은 “자동차업계는 국민이 불안감을 해소하고 더욱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운전자 실수 방지 목적의 페달 오조작 방지장치, 비상자동제동장치 등 신기술을 개발하고 신속하게 적용하고 있다”며 “비상자동제동장치의 경우 감지 대상을 차량뿐 아니라 보행자, 자전거 등도 감지할 수 있는 기능으로 단계적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