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대란이라는데… 벌 쏘여도 병원 가야하나요? [추석 응급처치 Q&A]

추석 기간이면 다양한 사고와 질병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그러나 최근 ‘응급실 파행’으로 인해 “병원 갈 일 만들면 안된다”는 불안감이 팽배하다.

 

단순한 소화불량이나 기침, 단순 발열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무조건 참는 것도 답이 아니다.

 

추석에 흔히 발생하는 큰 일은 아닌 듯한데 큰 일이 될 수 있는, 그래서 병원을 방문해봐야 하는 상황에 대해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양희범 교수에게 들어본다.

 

사진=최상수 기자

◆벌에 쏘인 후 호흡 곤란? … 아나필락시스 쇼크 

 

추석이면 성묘를 위해 많은 사람들이 산을 찾는다. 그러나 벌초 과정에서 미처 벌집을 보지 못하고 건드리는 경우 순식간에 벌떼로부터 집중 공격을 받게 된다. 벌에 쏘였을 때 증상은 벌의 종류와 쏘인 횟수 그리고 개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말벌이 아닌 일반 벌은 보통 쏘인 부위에 통증, 붓기, 가려움 등의 반응이 나타나지만, 대부분 1~2일이면 증상이 사라지게 된다.

 

중요한 것은 알러지 반응이다. 벌독에 알러지가 있는 사람은 일반 벌에 쏘이더라도 위험한 상황이 올 수 있다. 피부가 창백해지고 땀이 나고 두드러기·설사가 생기거나 호흡곤란과 혀·목에 붓기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을 아나필락시스 쇼크라고 하며, 아나필락시스 쇼크가 심한 경우 1시간 이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양희범 교수는 “평소에 벌독에 대한 알러지가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없기 때문에 벌에 쏘였다면 별다른 증상이 없더라도 과민성 쇼크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꼭 병원 응급실을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석 연휴를 앞둔 13일 서울의 한 대형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뉴스1

◆뱀에 물리면? 

 

뱀에 물리면 대개 알고 있는 응급처치 방법은 독이 전신에 퍼지는 것을 막고자 끈이나 수건, 등으로 상처 부위 주변을 묶는 것이다. 실제 응급실을 찾는 환자들이 독이 퍼져나가는 것을 막겠다는 강한 의지로 상처 위와 아래 부위를 풀기 어려울 정도로 겹겹이 꽉 묶거나 심지어는 케이블타이 또는 가는 철사로 칭칭 감아서 오는 경우도 있다.

 

양희범 교수는 “상처 주변 부위를 너무 꽉 묶을 경우 오히려 혈액 순환을 방해해 심한 부종이 생길 수 있고, 압력이 강한 가는 철사나 케이블타이 등을 이용할 경우 혈액의 흐름을 막아 상처 아랫부위가 괴사될 수도 있어 초기 응급처치 방법이 매우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이어 “물린 부위 5~10㎝ 윗 부분을 끈이나 수건 등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여유있게 묶는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지혈이 목적이 아니라 동맥피는 일정량 흐르게 하면서 정맥피가 되돌아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미지근한 물로 닦아낸 뒤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한 상태로 절대 뛰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아야 한다. 흥분해 심장이 빨리 뛰면 독이 더 빠르게 퍼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