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기관들이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의 임상 분야별 세계 병원 평가에서 무더기로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지만, 대부분은 수도권 소재 의료기관이었다.
한국 의료의 우수성이 평가를 받은 셈이지만, 우수 의료기관의 극심한 '수도권 쏠림' 현상이 그대로 드러난 것이다. 지역 의료기관의 질적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9일 뉴스위크의 '2025 월드베스트 전문병원'(World's Best Specialized Hospitals 2025) 평가 결과를 보면, 암(종양학·oncology) 분야에서 한국 의료 기관 중 삼성서울병원(3위)과 서울아산병원(5위), 서울대병원(8위), 세브란스병원(23위), 은평성모병원(37위), 국립암센터(40위), 분당서울대병원(57위) 등 7곳이 100위 안에 들었다.
150위까지 발표된 내분비 분야의 경우 한국 의료기관 21곳이 순위에 들었는데, 충북대병원(61위), 충남대병원(87위), 부산대병원(88위), 전남대병원(91위), 경북대병원(108위) 등 5곳이 지방 병원이었다.
250위까지 순위가 공개된 소아 분야의 경우 순위 내 한국 의료기관 25곳 중 계명대병원(133위), 부산대병원(136위), 충남대병원(148위), 경북대병원(164위), 충북대병원(166위), 충남대병원(195위), 건양대병원(230위) 등 7곳이 지방 소재였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사이 진료역량 차이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수한 의료진의 지역 의료기관 유입과 정착을 유도하고, 비수도권 의료기관에 대해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일본의 경우 지자체들이 일종의 공공의대인 자치의대를 운영하고 학자금 지원 대신 지역 복무 의무를 부여하는 '지역정원' 제도를 운영하는 한편, 정부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직접 의사 확보 대책을 수립하는 등 의사 확보를 위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 정부는 지역 거점 국립대의 의대 교수를 3년간 1천명 증원하고 실험·실습 첨단 기자재를 지원하며, 국립대 병원을 집중적으로 지원해 지역 필수 의료 거점으로 육성하는 지역의료 육성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의사들의 지방 근무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내년부터 지자체가 선정한 의료기관에서 장기 근무하는 조건으로 월 400만원의 지역근무수당 등의 지원을 하는 '계약형 필수의사제'를 도입할 계획이다.
야권도 지난 7월 공공보건의료대학·대학원을 설립해 학생들이 졸업 후 의료취약지의 의료기관 등에서 10년간 '의무복무'를 하도록 하는 내용의 '공공보건의료대학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안'을 발의한 바 있다.
<연합>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