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게 베트남은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내 핵심 파트너 중 하나다. 한국이 대(對)베트남 최대 투자국이란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지난해까지 한국 기업이 베트남에서 진행한 외국인직접투자(FDI) 누적액이 총 860억달러(약 115조원)에 이를 정도다.
베트남은 삼성, LG, 현대차, 포스코, 효성, 두산, LS 등 국내 대기업을 중심으로 1·2차 협력사가 동반 진출해 있어 시장 친숙도도 높다. 이는 베트남이 한국 입장에서 ‘K블루오션’을 발굴하기 어려운 나라라는 뜻이기도 하다. 이는 또 대베트남 수출을 늘리기 위해 ‘틈새시장’을 적극 발굴해야 한다는 의미다.
소비재 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한류 등의 영향으로 베트남 현지에 자리 잡은 K푸드, K뷰티 분야 제품이 쉽게 목격된다.
냉동 절단 닭고기 시장 1위 미국의 가격 경쟁력은 미국 내 식문화에서 비롯됐다. 미국에선 주로 닭가슴살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므로, 닭다리 등 가슴살이 아닌 부위는 낮은 가격으로 베트남에 대량 수출된다는 것이다.
업계에선 한국산 냉동 통닭의 성공 DNA를 절단육에도 적용해 시장을 넓혀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GTA에 따르면 지난해 베트남 냉동 절단 닭고기 시장은 총수입 규모 2억7370만달러로, 냉동 통닭(5314만달러)보다 5배 이상 큰 시장이라서다.
특히 베트남 닭고기 시장은 꾸준히 성장 중이고 전망도 밝은 편이다. 베트남 사람들의 구매력이 늘면서 육류 소비량도 늘고 있고,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방이 많은 돼지고기보다 닭고기와 같은 가금류 선호가 높아지고 있어서다.
베트남 노동보훈사회부는 지난해 13%였던 베트남 중산층 비중이 2026년 26%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고, 여론조사기관 입소스는 베트남의 닭고기 소비량이 지난 10년간 매년 8.5% 늘어 돼지고기 소비보다 더 빠른 속도로 성장한 것으로 분석했다.
베트남에서 닭고기를 포함한 냉동 가금류 수입액 총합은 2020년 1억9286만달러에서 지난해 3억2685만달러로 3년 새 69.5% 증가했다.
코트라는 “현지 육류 유통 관계자 인터뷰 결과 닭고기는 엄격한 검역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베트남인들 사이에서 한국산 닭고기가 현지 가금육 대비 위생적이며 품질이 좋다는 인식이 있다”며 “우리 기업이 현지의 가격 민감성 등 철저한 시장조사를 바탕으로 진출 전략을 세우면 냉동 절단 닭고기 시장에서도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