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의 시발점(始發點)을 설명하는데 학생이 '선생님이 욕했다'고 하더라고요", "이부자리가 별자리냐고 물어보는 학생도 있어요".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제578돌 한글날을 앞두고 초·중·고 교원 5848명을 대상으로 '학생 문해력 실태'를 물은 결과, 91.8%는 "문해력이 과거보다 저하됐다"고 7일 답했다.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은 절반에 가까운 48.2%를 기록했다(①5% 이하 ②6~10% ③11~20% ④21~30% ⑤31% 이상 등 오지선다). ‘31% 이상’이라는 답변만도 19.5%였다.
또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이 46.6%을 기록했다. 어려운 단어나 한자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67.1%였다.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은 30.4%,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보기도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21.4%에 달했다.
학생 문해력 저하의 원인에 대해서는 '스마트폰·게임 등 디지털매체 과사용(36.5%)'이 1위로 꼽혔다. 이어 '독서 부족(29.2%)', '어휘력 부족(17.1%)', '기본 개념 등 지식 습득 교육 부족(13.1%)' 등이 순위권에 올랐다.
교원들은 학생 문해력 개선을 위해 필요한 방안으로 '독서활동 강화(32.4%)'를 가장 많이 꼽았다.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등이 뒤를 이었다.
문해력 부족으로 인해 학생이 당황했거나 난감했던 사례도 줄을 이었다.
주관식으로 작성한 답변에는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했다", "'사건의 시발점이다'라고 했는데 왜 선생님이 욕하냐고 했다", "체험학습 계획표 중식 안내를 보고 짜장면 먹냐고 물었다" 등이 있었다.
교총은 "문해력 저하는 학습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대인 관계와 향후 성인이 된 이후 사회생활에도 부정적 영향과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우리나라의 전체 문맹률은 1~2%대로 매우 낮다고 하지만 이것이 문해력이 높다는 것으로 착각해서는 안 된다"라며 "학생 문해력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진단·분석부터 시작하고 디지털기기 과의존·과사용 문제를 해소하는 법·제도 마련 및 독서, 글쓰기 활동 등을 강화하는 대책이 병행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해당 조사는 지난달 20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됐다. 온라인으로 진행된 이번 설문조사의 표본 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1.28%포인트(p)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