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는 족발보쌈세트, 두발은 두 다리”…“‘이부자리’는 별자리라네요”

교원들 “디지털 기기, 학생들 필체에도 악영향”

교원의 절반 가량은 학생 10명 중 2명꼴로 ‘문해력이 부족하다’고 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는 오는 9일 한글날을 앞두고 전국 5848명의 초·중·고 교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학생 문해력 실태 교원 인식 조사' 결과를 7일 발표했다.

 

조사에서는 학생의 문해력이 부족해 당황했거나 난감했던 사례를 묻는 문항에 5000여명 이상의 교원이 예를 들어 답했다.

 

구체적으로는 '금일을 금요일로 착각했다', '왕복 3회라고 했는데 왕복을 이해하지 못했다', '이부자리를 별자리로 생각한다' 등의 사례가 있었다.

 

'족보를 족발보쌈세트로 알고 있었다', '중3 학생이 수도라는 말을 몰라 충격받았다', '고3이 풍력이 무엇이냐고 물어봤다'고 답하기도 했다.

 

'금일(今日)을 금요일로 착각한다', '사회 시간에 단어를 이해하지 못하는 친구가 90%다'라며 심각한 상황을 토로했다.

 

기사 특정내용과 무관. 게티이미지뱅크

교원들은 '학생의 문해력이 과거에 비해 어떻냐'는 질문에 '91.8%가 '저하됐다'고 답했다.

 

세부적으로 보면 수업 중 해당 학년 수준 대비 문해력이 부족한 학생이 총 학생의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이 절반(48.2%)에 가까웠다.

 

'31% 이상'이라는 답변도 19.5%나 됐다.

 

글의 맥락과 의미를 잘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고 답한 교원도 46.6%나 됐다.

 

도움 없이는 교과서를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30.4%, 문제를 이해하지 못해 시험을 치기 곤란한 학생이 21% 이상이라는 답변도 21.4%에 달했다.

 

교원들은 학생의 문해력 개선을 위해 독서 활동을 강화하는 것(32.4%)이 가장 필요하다고 답했다.

 

어휘 교육 강화(22.6%), 디지털매체 활용 습관 개선(20.2%), 토론·글쓰기 등 비판적 사고 및 표현력 교육 강화(11.4%) 순으로 답했다.

 

교원들은 디지털 기기가 학생들의 필체에도 악영향을 주고 있다고 봤다. 94.3%는 '디지털 보급으로 학생들의 필체 가독성이 나빠졌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