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온 배터리의 아버지’라 불리는 존 구디너프 미국 오스틴 텍사스대 교수는 40여 년 전 연구성과를 인정받아 2019년 97세의 나이로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노벨상 수상자 중 역대 최고령자다. 네이처에 따르면 2010년대 연구성과를 낸 후 노벨상을 받기까지 걸리는 시차가 화학상은 30년, 물리학상과 생리의학상도 28년, 29년이 걸렸다. 노벨상 수상까지 ‘잠자는 숲속의 공주’처럼 기다려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그런데 인공지능(AI)이 이런 노벨상 관행을 깼다.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AI의 대부라 불리는 제프리 힌턴 캐나다 토론토대학 명예교수와 존 홉필드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받았다. 화학상도 AI로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설계한 데이비드 베이커 미 워싱턴대 교수와 구글 딥마인드 최고경영자 데미스 허사비스, 수석연구원 존 점프에게 돌아갔다. 허사비스와 점프는 불과 4년 전 단백질의 3차원 구조 예측 모델 ‘알파폴드2’를 내놓았는데 놀라운 성과를 냈다. 알파폴드2는 10년간 알아내지 못한 특정 단백질 구조를 30분 만에 밝혀냈고 신약과 백신, 신소재 개발의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