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서 또 ‘럼피스킨’…‘보툴리즘’·‘조류독감’ 등 가축전염병 우후죽순

양양서 럼피스킨 발생…올해 누적 9번째 확진
충북·경북서 보툴리즘, 군산서 조류독감 검출
가축전염병 우후죽순…방역당국 비상

강원 양양 소재 한우농장에서 가축전염병인 럼피스킨이 추가 발생했다. 충북과 경북 등에서는 치사율이 최대 40%에 달하는 보툴리즘병이 잇따르는 가운데, 전북 군산의 야생 조류에서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AI) 확진 판정도 내려지며 가축전염병이 확산하고 있다.

 

앉아있는 소. 연합뉴스

 

농림축산식품부는 10일 양양의 한우농장에서 럼피스킨 의심 증상 신고가 들어와 정밀 검사를 진행한 결과 럼피스킨 양성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럼피스킨 발생은 이달에만 벌써 4번째다. 지난 2일 경기 평택, 3일 양양, 4일 강원 고성에 이어 양양에서 또 다시 발생하면서 올해 누적으로 9번째 확진이다. 현재 럼피스킨은 가축질병 위기단계에서 최고 경계 단계인 ‘심각’ 단계이다.

 

럼피스킨은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가축전염병으로 관리되고 있으며, 세계동물보건기구(WOAH)의 관리 대상 질병으로 분류된다. 감염된 소에서는 고열부터 지름 2∼5㎝의 단단한 혹(피부 결절)이 생기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유량 감소, 가죽 손상, 유산, 불임 등 심각한 생산성 저하를 유발한다.

 

럼피스킨의 주요 전파 요인은 흡혈 곤충(모기류, 흡혈 파리, 수컷 진드기)에 의한 기계적 전파다. 감염된 동물에 의해 오염된 사료나 물 섭취 및 오염된 주사기 재사용에 의한 전파도 가능하다. 감염 가축의 이동으로 장거리 전파도 가능하며, 현재까지 공기를 통한 전파나 사람 감염 사례는 보고된 바 없다.

 

농식품부는 현재 럼피스킨 발병 농가에 초동 방역팀과 역학조사반을 파견해 외부인·가축·차량의 농장 출입을 통제하고, 역학조사와 감염된 소에 대한 살처분을 실시하고 있다.

 

또 양양, 속초, 인제, 홍천, 평창, 강릉 등 6개 시·군 소재 축산시설 관계자와 차량에 대해 11일 오후 11시까지 일시 이동중지를 명령했다. 럼피스킨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는 시·군의 경우 이달 31일까지 추가 백신 접종이 권고된다.

 

농식품부 럼피스킨 방역대책본부 대책회의 개최. 연합뉴스

 

오염된 사료 등을 통해 감염되는 보툴리즘병 신고도 잇따른다.

 

지난달 13일부터 충북 증평의 한 농가에서 소 27마리가 집단 폐사한 데 이어, 충주에서 소 9마리가, 경북 영주에서는 지난주까지 소 5마리가 보툴리즘 증상을 보이다 폐사했다. 경기 연천의 염소 농가에서도 보툴리즘이 발생해 사육 염소의 절반인 12마리가 단 이틀 만에 폐사했다.

 

보툴리즘은 클로스트리디움 보툴리눔균이 생산하는 신경독소에 오염된 사료를 먹은 소에서 근육 마비 등의 기립 불능이나 집단 폐사를 일으키는 중독성 질병이다. 30~45%의 높은 폐사율을 보이는 치명적인 질병으로 현재로써는 백신 접종만이 유일한 예방책이다. 다행히 동물에서 동물로 옮기는 전염성은 없다.

 

보툴리즘이 발생한 지자체에서는 문제가 발생한 농장에 백신을 접종하고 예방 약품을 배부하는 등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임상 예찰을 강화하고 있다.

 

겨울철새인 고방오리와 알락오리. 뉴스1

 

지난 9일에는 전북 군산 철새도래지에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검출돼 올가을 전국 산란계 등 가금류 농장에 전파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고병원성 AI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은 지난 동절기인 올 2월 6일(경남 창원) 이후 8개월 만이다.

 

고병원성 조류AI는 H5형과 N1형으로 구성된 H5N1로 분류된다. H5형 조류독감은 전 세계적으로 야생 조류에 널리 퍼져 있으며 주로 가금류에서 발병하고 있다.

 

최근에는 고양이·돼지·소 등 포유류로 감염 대상이 확대되고 다시 사람이 감염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아직 사람 간 전파 사례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유전자 변이를 거치면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같이 대유행을 유발할 수 있다고 경고해 왔다.

 

정부는 위기경보를 높이고 야생 조류와 농장 방역 강화에 나섰다. 농식품부는 AI 긴급행동지침(SOP)에 따라 위기경보 단계를 ‘주의’에서 ‘심각’으로 높였다. 이에 따라 전국 가금 농장의 정밀 검사 주기가 짧아지고 사육장에서 풀어 기르는 방사 사육이 금지된다.

 

환경부는 ‘야생 조류 AI 대응상황반’을 구성해 전국 주요 철새도래지에 대한 예찰과 지자체 방역상황 점검에 나선다. 환경부는 지난해 112~200개소였던 겨울 철새 서식현황 조사 지역을 이번 동절기 150~200개소로, 환경부 주관 예찰 지역도 87개소에서 92개소로 각각 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