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은행권 부실 대출 2년간 46조 늘어… 3배 ‘쑥’

“금융 안정 위협” 지적 잇따라

2022년 1분기 21.4조→24년 2분기 67.8조
상호금융, 금융권서 비중 55% 가장 심각
부동산 PF 구조조정·취약차주 대출 영향
은행권은 3.8조→6.1조로 2.3조 증가 그쳐
“통화당국, 비은행권 안정성 잘 살펴야”

지역수협 부동산 대출 연체율 최고 20%
평균 7.38%… 시중銀 24배 달해 ‘빨간불’

금융권의 부실대출 규모가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비은행권의 부실대출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구조조정 등 여파로 최근 2년 3개월간 3배 넘게 늘어 금융 안정을 위협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성호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제출받은 ‘금융권별 고정이하여신 변동 현황’에 따르면 지난 2분기 말 은행·비은행권 등 금융권 전체의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73조9000억원으로 집계됐다. 2022년 1분기 말 25조2000억원보다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고정이하여신은 연체 기간이 3개월 이상인 대출로 회수가 어려운 부실대출을 뜻한다.

 

서울 시내 한 전봇대에 카드 대출 관련 광고물이 부착돼 있다. 뉴시스

고정이하여신의 증가세는 비은행권에서 더 두드러졌다. 비은행권 고정이하여신 규모는 2022년 1분기 말 21조4000억원에서 2024년 2분기 말 67조8000억원으로 3배 넘게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의 고정이하여신은 3조8000억원에서 6조1000억원으로 2조3000억원 증가했다. 이에 따라 이 기간 동안 금융권 전체 고정이하여신에서 비은행권의 비중은 84.9%에서 91.7%로 상승했고, 은행권은 15.1%에서 8.3%로 하락했다.



금융기관 유형별로 보면 비은행 금융기관 가운데에서도 농협, 수협, 신협, 새마을금고 등이 포함된 상호금융의 부실대출이 가장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상호금융의 부실대출은 2022년 1분기 말 12조1000억원에서 2024년 2분기 말 41조1000억원으로 3.4배 뛰어올랐다. 2022년 1분기 말에는 금융권 전체 부실대출 중 48%를 기록했지만 올해 2분기 말에는 55.6%로 과반을 차지했다.

다른 비은행 금융기관도 사정은 비슷하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부실대출은 3조6000억원에서 11조3000억원으로 3.1배 증가했고, 카드사 등 여신전문금융기관은 3조5000억원에서 7조8000억원으로 2.3배 늘었다. 증권사는 1조9000억원에서 6조1000억원으로 3.1배, 보험사는 3000억원에서 1조5000억원으로 5배 각각 급증했다.

이처럼 비은행권을 중심으로 부실대출이 대폭 늘어난 이유는 부동산 시장 침체에 따른 PF 구조조정이 진행 중인 데다 내수 부진으로 자영업자 등 대출을 받은 취약차주의 상환능력이 급락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 의원은 “상호금융만이 아니라 모든 금융기관의 부실대출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실을 엄중하게 고려해야 한다”라며 “한은은 특히 비은행권의 금융 안정성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수협중앙회 회원 조합인 지역 수협의 부동산 대출 연체율은 시중은행 평균의 24배에 달할 정도로 심각했다.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소속 민주당 이원택 의원이 수협중앙회로부터 제출받은 국감 자료에 따르면 91개 지역 단위조합 수협의 부동산 대출 연체율은 지난 6월 말 현재 7.38%로, 3년 만에 3배로 치솟았다. 같은 기간 시중은행 연체율 0.31%의 24배에 달한다. 이들 수협의 부동산 대출 금액은 25조4025억원이며, 연체액은 1조8758억원에 달했다.

몇몇 지역수협은 연체율이 20%를 넘어 시중은행보다 60배 이상 높았다. 연체액 대부분은 회수가 어려운 고정이하채권이었다.

지역수협 91개 중 부실 우려 조합(6개)과 경영관리 대상 조합(18개)은 모두 24개로 전체의 26%를 차지했다.

민주당 임호선 의원실에 따르면 적자를 본 수협 단위조합의 수는 2021년에는 3개였는데 지난 8월 63개로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