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 프로젝트… 경북, 민간 주도 지역 판 바꾼다

경북도, 국가 재정 의존 투자 방식 탈피
‘지역펀드’ 활용한 민간 투자 모집
2026년까지 융복합 프로젝트
관광·농업·의료·산업 집중 지원
“지역경제 살리는 마중물 될 것”

경북도는 ‘투자회사 경북도’를 자처한다. 민간이 주도하는 지역발전을 도정 운영의 한 축으로 잡은 것이다. 그동안 정부 주도의 지역발전은 국고보조금을 포함한 재정사업 위주로 이뤄졌다. 실제로 정부의 지역투자 규모는 2018년 239조원에서 2022년 330조원으로 4년 동안 91조원 늘었다. 그러나 대규모 재정 투입에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인구와 경제 격차는 커지고 결국 지역소멸의 시계추는 늦추지 못했다.

◆민간투자 활성화… 투자 패러다임 대전환



17일 경북도에 따르면 지역활성화투자펀드는 도의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이자 민간 지원책이다. 도는 국가 재정에 의존하는 지역투자 방식을 탈피하고, 민간의 창의적 역량과 풍부한 자본을 바탕으로 지역발전을 꾀할 방침이다. 도는 지역활성화투자펀드를 활용한 민간투자를 통해 2026년까지 10조원 규모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민간과 수익성이 있는 대규모 융복합 프로젝트를 기획 단계서부터 운영까지 함께할 계획이다.

도는 지난 3월 지역활성화투자펀드 전국 1호 사업으로 ‘구미 국가산단 근로자 임대주택 사업’을 시작했다. 투자에 난항을 겪던 40여년 전 건립된 사원아파트를 500실 규모의 최신식 오피스텔로 만든다. 당초 150억원으로 계획된 사업은 정책 펀드와 결합해 1239억원까지 규모를 키워 청년에게 복합주거시설을 제공하는 쪽으로 확대됐다.

도는 지난 7월에는 조직개편을 단행해 전국 최초로 ‘민자활성화과’를 신설했다. 1000억원 규모의 경북 민간투자 활성화 펀드를 조성해 지방정부가 직접 지분투자자로 나서 부족한 수익성을 보강하고, 금융과 함께 새로운 사업을 기획해 성공시킨다는 배경에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지역활성화투자펀드 사업의 성공 열쇠는 뭐냐’는 질문에 “새로운 제도이니만큼 성공 사례를 많이 만들어 민간부터 시군까지 제도에 대한 확신과 신뢰가 생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문화관광·농업·의료·산업 집중 투자

도는 지역의 판을 완전히 바꿀 프로젝트로 4대 분야에 집중 투자한다. 문화관광과 농업, 의료, 산업인프라가 대표적이다. 먼저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1시·군-1호텔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도는 전국 관광객의 10%를 차지하고 있지만 숙박시설 이용객은 4%에 그쳐 ‘머무는 관광’이 아닌 ‘스쳐 가는 관광’이 됐다.

특히 경북 동해안에는 4성급 이상 호텔이 없어 관광인프라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도는 현재 영덕군에 4층 규모의 경북수련원 조성 사업을 민간투자사업으로 전환했다. 동해뿐만 아니라 안동과 문경 등 백두대간 일원에도 산림자원을 활용한 휴양호텔리조트를 건립하고, 도시지역에는 비즈니스호텔 건립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농업 분야는 지금까지 재정사업 위주로 이뤄진 스마트팜과 농산물 유통 인프라에 민간 자본을 활용한다. 최대 4만9586㎡ 규모의 스마트팜 타운을 구축하고, 대형 유통사가 참여하는 광역농산물유통물류센터를 만들어 유통 혁신을 꾀한다. 현재 이 사업은 연구용역이 막바지 단계에 있으며 토지 수용도 추진 중이다.

의료복지 향상도 빼놓을 수 없다. 도는 ‘꿈의 암 치료기’로 불리는 중입자 치료기를 도입하고, 공공의료원 신설 등 수도권 중심의 의료체계를 극복하는 데 머리를 맞댄다. 산업 인프라 확충을 위해선 산업단지 근로자를 위한 기숙사를 구미산단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확산한다. 동해안권 에너지인프라 확충사업도 투자펀드 대상 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 도지사는 “도가 민간을 지원하는 서비스 기관이 되고 민간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일자리를 만들고 국가 경제를 살찌게 할 수 있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산업화 시기에는 정부가 나라를 이끌었지만 이제는 기업이 나라를 이끄는 시대라는 소신에서다. 이 도지사는 “문제의 답은 현장에 있기 때문에 현장을 가장 잘 아는 지방이 나서야 한다”면서 “도의 아이디어 사업은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지역경제를 살리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