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향 방에 살기를 자처하는 사람이 몇이나 될까? 온종일 어두운 방, 바깥세상에 눈이 내렸는지, 햇빛이 돌아왔는지, 잿빛인 채 저물었는지 끝내 알지 못하여 일기에 날씨는 기록하지 않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밝은 방에서 살던 일은 기억나지 않고 돌아갈 마음도 없는 그 사람은 어떤 빛을 가진 사람일까?
하버브리지가 훤히 보이는 호텔 방에서 나는 고통스러웠다. 지난달 하순, 시드니한국문학회의 시상식과 특강 후, 단체여행하는 기간이었는데 하루는 몹시 앓으며 쓰러져 있었다. 환상적인 뷰나 풍요로운 식사가 아무 소용없었다. 며칠간 단체로 바삐 움직이다 보니 책 읽을 시간이나 글 쓸 짬이 전혀 없었다. 챙겨간 시집 원고가 가방에서 고기처럼 썩는 냄새를 풍겼다. 작업할 시공간이 온전히 박탈된 나날을 며칠이나 견딜 수 있을까? 아무것도 쓰지 못할지라도, 혼자 책상 앞에 있을 수 있는 몇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작가는 일상을 버텨가는 게 아닐까? 작가라는 존재는 조용히 쓸 수 있는, 고독하게 자신과 마주할 수 있는 그 자유가 무엇보다 절실해서 마냥 밝고 즐거운 방에서 황급히 벗어나 북향 방으로 가는 것이다.
“나는 조용히 있고 싶다. 세계에 많은 고통이 있고, 우리는 좀 더 조용하게 있어야 한다”고 한강 작가는 말했다고 한다. 그는 현재 집필 중인 소설을 빨리 끝내고 노벨상 수락 연설문 작성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노벨상 공식 기자 회견 요청에 대한 답변일 것이다. 우리는 한강 작가의 선택을 존중한다. 무엇보다 ‘현재 집필 중인 소설’을 읽게 될 기대감에 기분이 좋아진다. 이미 한강 작가는 놀라움과 기쁨, 감동의 시간을 통과했을지도 모르겠다. 매일 시집 한 권, 소설책 한 권을 읽고 자신의 원고 분량을 채워가는 일상으로 돌아갔으리라. 하지만 한 가지 루틴은 실행하지 못하고 있을 것 같아서 조금 안타깝다. 한강 작가는 글 쓰는 몸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루 한두 시간은 산책한다고 했는데, 독자들의 환호성에 문밖으로 나서기도 쉽지 않을 텐데, 늦은 저녁에 모자 쓰고 나가서라도 건강을 다졌으면 좋겠다.
김이듬 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