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바 ‘사회적 타살’로 불리는 고독사가 지난해 3661명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가 어제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2년간 고독사 발생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2024년 고독사 사망자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고독사는 2022년 3559명에서 지난해 소폭 늘었다. 2021년 3378명, 2020년 3279명 등 5년째 증가세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전체 사망자 100명당 고독사는 1.04명이다. 2019년 1.0명, 2020년 1.08명, 2021년 1.06명, 2022년 0.95명 등 쉽게 줄지 않고 있다. 단절된 사회의 민낯을 보는 것 같아 씁쓸하다.
이번 조사는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고독사예방조사연구센터 주관으로 지난 4월부터 6개월간 경찰청 형사사법 정보를 분석해 고독사 사례를 추출하고, 이들의 사회보장급여 기록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고독사 증가는 1인 가구 증가 등 가족 해체와 허술한 사회안전망이 원인이다. 고독사를 처음으로 발견(신고)한 사람이 2021년까지는 가족이 가장 많았으나 2022년 이후에는 임대인·경비원·관리자 등이 가장 많아진 점이 이를 입증한다.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비중이 2022년 39.7%에서 지난해 41.4%로 확대됐다. 복지 사각지대에 놓인 이들의 경제적 스트레스가 고독사로 이어진 게 아닌가 곱씹어봐야 한다.